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6-12

기후변화협약 제3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구축연구(제3차년도)

연구책임자
임재규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형태사항
x 205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6-12
서지주기
참고문헌(p.194-205)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412대출가능-
자료실P416547대출가능-
자료실P416548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41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4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4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에서는 모든 당사국들이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국가전략을 자체적으로 수립, 시행하고 이를 공개해야 함과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국가통계와 정책이행에 관한 국가보고서(National Communication)를 작성하여 당사국총회(Conference of Parties, COP)에 제출토록 규정하고 있다 (기후변화협약 제4조 및 제12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으로서 우리나라는 그동안 1998년 3월에 제1차 국가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2003년 12월에 제2차 국가보고서를 제출한 바 있다. 제2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향후 제출해야 할 제3차 국가보고서에서는 보다 일관성 있고 투명하며 상호 비교 가능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도록 관련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기초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기후변화협약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구축연구』라는 제목 하에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사업이 3년(2004년~2006년) 동안의 산·학·연 협동연구사업으로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사업은 국가보고서의 정확도 및 신뢰도의 획기적 개선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통계 및 전망, 부문별 온실가스 저감정책 효과분석 및 정책효과 시나리오 전망,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체계 구축, 기후변화 관련 교육 및 홍보체제 개선 등의 분야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기반으로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우리나라의 장기 기본전략 수립 및 체계적 대응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보고서는 『기후변화협약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구축연구』의 제3차년도(2006년) 연구사업의 최종보고서로서, (1)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론 개선과 (2)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조치의 효과분석 방법론 개선을 주제로, 에너지부문, 농업부문 및 축산부문을 대상으로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동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수록하고 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사업 추진 경과 2. 2006년 연구사업 내용 및 향후 계획 제 2 장 장기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론 개선 1. 장기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론 현황 2. 에너지부문의 장기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론 개선 3. 농업부문의 온실가스 장기 배출전망 방법론 개선 4.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론 개선 제 3 장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조치 효과분석 방법론 개발 1.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조치 효과분석 방법론 현황 2. 에너지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정책 효과분석 방법론 개선 3. 농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정책 효과분석 방법론 개선 4. 축산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정책 효과분석 방법론 개선 제 4 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