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6-13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절약 잠재량 추정II(정유산업): 상향식 최적화 모형(MARKAL) 이용

연구책임자
노동운
연구참여자
오세신, 박천건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형태사항
x 160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6-13
서지주기
참고문헌(p.159-160)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413대출가능-
자료실P416549대출가능-
자료실P416550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4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4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655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는 기후변화협약 및 교토의정서에 의거한 제1차 공약기간(2008~2012년)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OECD 회원국이면서 온실가스 배출량 수준이 세계 상위권이어서 2012년 이후(Post-Kyoto)의 의무부담 참여를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협약에 의거한 의무부담을 받지 않는다 할지라도 우리나라의 위상을 감안하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 의무부담 협상과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에 대비하여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을 추정하는 것이 선결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로서는 비용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 정책수단을 선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으며 산업계로서는 효과적인 감축전략 수립과 온실가스 감축 비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경영전략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정유산업의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온실가스 감축 정책수단을 기술적 수단, 가격 수단 및 기타 수단으로 구분하고 기준안(baseline) 대비 각 수단의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감재량을 추정하게 된다. 또한 각 수단별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MAC)을 추정하고 감축 잠재량과 한계비용을 감안한 통유량 기준의 온실가스 원단위 개선율에 입각한 임의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한계감축비용에 입각해서 비용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수단을 평가하고 감축목표 달성에 소요될 비용을 추정하게 된다. 정유산업은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세부 실천계획을 수립하는데 본 연구 결과를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비용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 정책수단 선정과 기후변화협약의 의무부담 협상용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업계는 본 연구에서 추정된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MAC)을 교토메카니즘 활용 의사결정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41년까지 40년으로 설정되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정유산업의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추이 1. 석유제품 수급 추이 2. 에너지 비용 3. 에너지 소비 추이 4. 온실가스 배출 추이 Ⅲ. 정유산업의 기준에너지시스템(RES) 1. 우리나라의 정유공정 개요 2. 정유산업의 기준에너지 시스템(RES) Ⅳ. 분석모형 및 자료 1. 분석 모형 2. 모형 투입 자료 3.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Ⅴ.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잠재량 1. 공정별 기술 경쟁력 2. 에너지 수요 및 온실가스 배출 전망 3. 에너지 절약 잠재량 4.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5.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전망 Ⅵ. 비용 효과적 온실가스 감축 전략 1.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MAC) 추정 2. 정유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3.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소요비용 추정 4. 비용 효과적인 감축수단 평가 Ⅶ. 결론 <부록 1> 세부 정유공정 <부록 2> 정유공정의 신기술 <부록 3> 에너지원 및 석유제품별 열량 및 가격 <부록 4>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계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