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N70040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654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654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N7004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654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654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세계 각국의 전력산업 구조개혁은 과거 수직통합체제로 유지되어 온 전력산업에 경쟁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오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각국은 국가별 전력산업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자국 전력산업의 특성에 부합하는 형태로 구조개혁의 시기와 속도를 달리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력산업 구조개혁도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 전력산업의 경쟁도입과 효율성 향상을 통한 전기요금의 인하를 목표로 시작되었으나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즉, 발전부문 분할단계에서 각 발전회사의 시간대별 비용자료 제출로 도매가격이 결정되는 구조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현재 추진된 전력산업 구조변화에 대한 효율성의 측정이 전제될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효율성 수준이 세계 각국의 전력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이며 그 효율성을 결정짓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향후 우리나라 전력산업 구조변화의 방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에서 출발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논의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해외 주요국의 전력산업 구조변화
1. 전력산업 구조개혁의 기본 방향
2. 해외 주요국의 전력산업 구조 및 시장
3. 해외 주요국의 전력산업 구조개혁 부문별 비교
Ⅲ. 해외 전력회사의 구조변화
1. 전력회사의 구조변화 형태 및 요인
2. 전력산업 구조개혁 후 전력회사의 동향
Ⅳ. 효율성 추정방법과 선행연구
1. 효율성 추정방법론
2.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3. 선행 연구
Ⅴ. 전력산업의 효율성 추정 결과
1. 효율성 추정을 위한 사용자료
2. 효율성 추정 결과
3. 추정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한계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