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8-19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material demand in the era of energy transition
에너지 전환시대의 소재수요 변화에 대한 자원확보 전략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 형태사항
- ⅳ ⅳ ⅶ 95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8-1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3-9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518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518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518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518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정부는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에너지정책의 목표로 설정하고 탈원전, 재생에너지 공급확대를 핵심적인 정책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들이 에너지전환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의 획기적 보급을 주요 정책과제로 하고 있다. 또 최근 전기자동차의 기술발전과 보급 확대 정책으로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에 따라 새로운 자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자원분포의 편중성은 에너지전환에 대한 불확실성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새로운 소재에 대한 안정적 확보는 효율적인 에너지전환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며, 소재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자원 확보전략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에너지전환 정책과 기술발전으로 인한 에너지·자원시장의 환경변화를 반영하는 우리나라 자원 확보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에너지시장의 변화: 에너지 전환
1.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2. 전기자동차(EV)의 보급 확대
제3장 에너지전환과 소재광물
1. 태양광발전(PV)과 소재
2. EV의 핵심 부품인 2차 전지와 소재
제4장 에너지전환에 대응하는 자원확보 전략
1. 비상시 대응을 위한 비축
2. 도시광산
3. 소재광물 개발을 위한 금융, 세제 등 재정적 지원 수단
제5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