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16A study on the condition of becoming stranded assets for coal power plants
석탄발전소의 좌초자산 조건 연구
- 연구책임자
- 안영환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iii vi 84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1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1-84)수록
- 키워드
- 석탄발전, 화력발전, 온실가스감축, 좌초자산, Stranded Assets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84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84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84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84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온실가스 감축이 강화될 경우, 화석연료 관련 설비의 좌초자산(stranded asset) 가능성은 커질 것이다. 자원개발 기술의 발전으로 화석연료 고갈 시점은 늦출 수 있다고 할지라도,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강화되면 화석연료 관련 설비는 애초에 의도했던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사장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화석연료 관련 설비 중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계수가 높고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석탄발전소의 미래는 밝지 않다. 본 연구는 탄소비용의 변화로 인해 국내 석탄발전소가 좌초자산이 될 가능성을 평가하고 좌초자산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고찰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석탄발전 국내외 현황 및 선행연구 고찰
1. 해외 석탄 화력발전 정책 동향과 시사점
2. 선행연구: 좌초자산 개념(Stranded Assets)과 추정
3. 석탄 발전 기업 좌초자산 위험 평가 사례
4. 시사점
제3장 전력부문 온실가스 감축분석 모형
1. 모형의 개요
2. 모형의 이론적 수식
3. 모형의 기술 입력 자료
제4장 시나리오 정의 및 분석 결과
1. 시나리오 정의
2. 분석 결과
제5장 대응방안 및 결론
1. 좌초자산 최소화를 위한 대응방안
2.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