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5-03

자동차 연료의 소매가격 및 소매마진액 변동요인 분석

연구책임자
이달석
연구참여자
신정수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형태사항
iv 109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5-0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5842대출가능-
자료실P41584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584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584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주요 16개 시·도의 지역별 자료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추정한 결과, 휘발유 소매마진에 대한 기대수요의 계수가 플러스 부호를 보인 방정식은 7개이고, 휘발유 소매마진에 대한 기대비용의 계수가 마이너스 부호를 보인 방정식은 12개이다. 그리고 기대수요가 플러스 부호이고 기대비용이 마이너스 부호를 보인 방정식은 7개 불과하다. 그리고 경유 소매마진에 대한 기대수요의 계수가 플러스 부호를 보인 방정식은 6개이고, 경유 소매마진에 대한 기대비용의 계수가 마이너스 부호를 보인 방정식은 13개이다. 경유 방정식에서도 기대수요가 플러스 부호를 보인 6개의 방정식만이 기대비용의 부호도 모두 마이너스 부호를 보였다. 더욱이 휘발유와 경유 방정식 모두에서 부호가 일치하는 추정계수들도 매우 낮은 수준의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휘발유와 경유의 추정식 모두에서 부호가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부호가 일치하는 일부 추정식도 계수 값의 유의성이 매우 낮아서 주유소의 가격결정이 암묵적 협조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기는 곤란하다. 다음으로 휘발유와 경유의 소매가격 조정은 도매가격 변동에 비교적 신속하고 대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의 경우, 16개 지역에 대한 방정식 추정의 R2는 평균 0.96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추정계수의 유의성은 당기 도매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매우 높았지만 전기 도매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낮았다. 또한 전기 도매가격 변동의 추정계수도 거의 0에 가까운 값을 가지고 있었다. 16개 지역 평균으로, 당기 도매가격 상승시의 소매가격 조정 계수는 0.989, 당기 도매가격 하락시의 소매가격 조정 계수는 0.909로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칭적 가격조정으로 볼 수 있겠다. 경유의 16개 지역에 대한 방정식 추정의 R2도 평균 0.96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휘발유와 마찬가지로 추정계수의 유의성은 당기 도매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매우 높았지만 전기 도매가격 변동에 대해서는 낮아, 도매가격 변동에 대응하여 소매가격의 조정이 신속하게 이루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6개 지역 평균으로, 당기 도매가격 상승시의 소매가격 조정 계수는 0.932, 당기 도매가격 하락시의 소매가격 조정 계수는 0.869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비교적 대칭적인 가격조정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반면에 주유소에 공급하는 휘발유와 경유의 도매가격은 원유가격 변동에 비대칭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의 경우, 16개 지역에 대한 방정식 추정의 R2는 평균 0.57이다. 원유가격 상승과 하락에 따른 휘발유 도매가격의 비대칭 변동은 16개 지역에 대한 추정식 모두에서 매우 일관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16개 지역 평균으로, 전기 원유가격 상승시의 도매가격 조정 계수는 1.031, 전기 원유가격 하락시의 도매가격 조정 계수는 0.434로 비대칭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전기 원유가격 상승시의 도매가격 조정 계수는 0.210, 전전기 원유가격 하락시의 도매가격 조정 계수는 0.306으로 하락시의 조정 계수가 상승시의 조정 계수보다 더 컸다. 전기와 전전기의 원유가격 변동의 영향을 합한 조정 계수는 원유가격 상승시 1.242, 원유가격 하락시 0.740으로 비대칭적이다. 경우의 방정식도 원유가격 변동에 비대칭 반응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추정계수들의 유의성이 전반적으로 매우 낮아서 이를 합리적인 추정결과로 판단할 수는 없다. 더욱이 경유 방정식 추정을 위한 입력 자료는 그 신뢰성에 상당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일부 자료시점(data point)에서 대리점가격과 주유소가격의 수준이 역전되는 등 한국석유공사에서 발표하는 경유의 도·소매가격이 일관성을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반적인 추정결과로 볼 때, 원유가격에 대한 자동차 연료의 가격 조정에 비대칭 현상이 존재하는 것은 소매 유통경로에 존재하는 주유소의 소매가격 결정행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도매단계 시장참여자의 가격결정행위와 관련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목차
Ⅰ. 서 론 Ⅱ. 자동차 연료의 유통구조 분석 1. 자동차 연료의 유통경로 2. 자동차 연료의 유통기관  가. 생산 및 수입단계  나. 도매단계  다. 소매단계 Ⅲ. 자동차 연료의 소매가격구조 분석 1. 세전공장도가격 2. 세금 및 판매부과금 3. 유통마진 4. 최종소비자가격  가. 최종소비자가격 구조변화  나. 최종소비자가격의 국가간 비교 Ⅳ. 소매가격 및 소매마진액 결정행태 분석 1. 분석의 내용과 기존의 연구  가. 암묵적 협조체제  나. 가격조정의 비대칭 2. 추정모형 및 추정방법  가. 기존 추정모형의 검토  나. 추정모형 설정 및 추정방법 3. 자료의 구성 4. 추정결과와 해석  가. 휘발유  나. 경유 Ⅴ. 결 론 참고문헌 부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