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2-15

에너지산업 구조개편에 따른 열병합발전의 경제성 평가: CES사업의 열병합 발전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심상렬 외저
발행사항
경기도 에너지경제연구원 2002
형태사항
85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2-1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199대출가능-
자료실P413306대출가능-
자료실P413307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19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33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330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소규모지역냉난방(CES) 사업자의 열병합발전 도입 잠재력은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이후의 천연가스 및 전력 요금에 상당히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CES사업을 분석대상으로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이후 열병합발전의 도입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전력산업 구조개편 이후, 산업용 요금에 대한 일반용 전력요금의 상대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열병합발전용 (특히 냉방계절의 경우) 천연가스 요금은 가스산업 구조개편 이후 다른 용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 하락폭은 상당히 불확실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요금이 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CES사업에 있어서 열병합발전의 경제성은 상실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는 열에너지 공급구역의 수용가에 대한 CES사업소의 전력직판을 전제로 한 것이다. 한편, 2002년 11월 현재의 에너지요금 구조 하에서 전력직판이 가능하고 냉난방용 열에너지의 공급규모가 각각 연간 60Gcal에 달할 경우 CES사업의 열병발발전 도입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최적화 선형계획모형을 활용한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이후의 가격 불확실성, CES사업 형태의 다양성 등을 다루지 않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분석모형은 잠재 CES사업소에 있어서 열병합발전 도입의 사전적 타당성 검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기존 연구 3. 본 연구의 한계점과 활용방안 Ⅱ. 소규모 열병합발전시스템 1. 시스템 개요 가. 열병합 발전설비의 유형별 특징 나. 배열 이용기기 2. 본 연구의 냉·난방·조명전력 시스템 Ⅲ. 에너지산업 구조개편의 요금영향 1. 전력산업 구조개편 가.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개요 나.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요금영향 2. 가스산업 구조개편 가. 가스산업 구조개편의 개요 나. 가스산업 구조개편의 요금영향 3. 집단에너지산업 구조개편 가. 집단에너지산업 구조개편의 개요 나. 집단에너지산업 구조개편의 요금영향 Ⅳ. 열병합발전의 경제성 1. 분석모형 가. 변수설정 나. 선형계획 프로그램 2. 주요전제 가. 냉난방조명 시스템 관련 주요 전제 나. 외생변수 관련 주요 전제 3. 분석 시나리오 및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부록> 열병합발전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정책적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