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N70019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329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329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N7001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329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32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기존 석유비축사업은 안보(security) 위주의 정태적(stock) 개념에 바탕을 둔 것으로 최근의 여건 변화에 따라 경제성 위주의 동태적(flow) 개념으로 전환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생상품거래를 포함한 비축유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서 선택적 거래전략을 제시하고, 이들 거래전략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WTI, Brent, Dubai 유종을 대상으로 1997년 10월~2002년 8월에 해당하는 주간 현물가격과 선도가격을 활용한 시뮬레이션분석을 시도하였다. 표본자료를 활용한 경우와 별도로 확률과정을 활용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분석에서 선택적 거래의 유용성이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유가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선택적 거래가 수익의 기대값을 향상시키고, 이의 변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 거래에서 전통적인 1:1 헤징방식보다는 OLS를 활용한 (최소분산) 헤징방식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선택적 거래에서도 실행수준을 고려하여 다시금 선택적으로 거래하는 경우가 수익의 기대값을 증가시키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비축시설과 비축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적절한 형태의 파생상품거래를 병행하는 것이 국내 석유비축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국내 원유도입 및 비축 현황
1. 원유도입 현황 및 방식
가. 원유도입 현황
나. 원유도입 방식
2. 국내 석유비축 현황 및 정책
가. 석유비축의 개념 및 방법
나. 해외 주요국 사례
다. 국내 석유비축 현황
라. 비축정책에 대한 재고
제3장 파생상품을 활용한 헤징이론
1. 선물가격의 결정과 특성
가. 균형선물가격의 결정
나. 선물가격의 특성
2. 헤징(hedging)의 개요
가. 헤징의 기본 개념
나. 베이시스위험(basis risk)
다. 베이시스를 이용한 헤징
라. 최적헤지비율(optimal hedge ratio)
마. 교차헤징
3. 조달헤징과 비축유의 활용사례
가. 모형의 전제
나. 목적함수 및 헤지비율
다. 선물거래 관련 제반 비용
라. 비축유를 활용한 헤징전략
마. 선택적 헤징
제4장 시뮬레이션분석 절차
1. 분석절차 및 표본자료
가. 분석절차
나. 분석대상 자료
다. 선도가격의 편의(bias) 및 헤징효율성
2. 확률과정의 모형화 및 추정
가. 확률과정 추정을 위한 일반 모형
나. Mean-Reverting Process Model 추정
다. One-Factor Model 추정
라. 표본자료 및 시뮬레이션자료의 비교
3. 분석대상 시나리오
가. 비축유의 효율적 구매 및 재고자산 가치유지 방안
나. 비축유의 효율적 활용 방안
다. 분석대상 통계치
제5장 시뮬레이션분석 결과
1. 표본자료를 활용한 시뮬레이션분석 결과
가. 재고자산 가치유지 방안
나. 비축유의 효율적 활용 방안
2. 확률과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분석 결과
가. 재고자산 가치유지 방안
나. 비축유의 효율적 활용 방안
3. 시뮬레이션분석 결과 요약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부록] 시뮬레이션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