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01
전기자동차 보급의 에너지수급 영향 분석
- 연구책임자
- 최도영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viii vi ix 231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25-231)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13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13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13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13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세계 자동차시장의 패러다임이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이행하고 있다. 자동차 배출가스에 대한 국제적인 환경규제 강화, 석유 자원의 고갈 가능성 증대, 고유가 지속 등이 원인이다. 자동차 수요자들은 유가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고효율 자동차에 대한 선호를 높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연비가 높은 경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수입 경유(클린디젤) 자동차의 판매가 두드러지게 늘고 있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하이브리드 승용차 시장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도 급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온실가스 및 대기 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환경 악화 우려가 확대되고, 연료 가격이 상승하면서 선진국들은 순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세계적인 흐름으로 볼 때, 전기자동차는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 경제 환경과 자동차 산업의 판도를 뒤흔들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수단이자,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필수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EU, 일본,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지원, 세제 혜택 등의 금전적인 인센티브뿐만 아니라 주차 및 충전 편의성 부여, 차량 운행 관련 인센티브 제공 등 각종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만약 국내 시장에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될 경우, 국가 에너지 수급 및 온실가스 배출구조에는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자동차, 즉 순수 전기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의 기술별 보급 상황에 따라 에너지수급 및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만약 하이브리드차의 보급이 확대될 경우, 추가적인 전력 수요 증가 없이 석유연료의 소비 감축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력망으로부터 전기를 충전해야 하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확산되면 수송연료 수요는 빠르게 감소하겠지만, 전력 수요 증대에 따라 발전용 에너지 수요는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다. 순수 전기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성(연비)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4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의 높은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수급 및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은 1차에너지 수급 기준으로 평가해볼 필요가 있다. 발전부문의 전원 구성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석탄 중심이며, 발전부문의 에너지전환 효율까지 낮을 경우, 전기자동차의 높은 연비에도 불구하고 1차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은 늘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기자동차는 에너지절약,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최근에 전력수요 급증과 설비증설 제약으로 전력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상황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장점만을 논하기 전에 전기차가 에너지수급, 특히 전력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차 보급이 우리나라 에너지수급과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장기적인 전력수급 안정성을 평가하며, 수급안정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범위
제2장 세계 전기자동차 보급 현황 및 전망
1. 전기자동차의 정의 및 특징
2. 주요국의 전기자동차 보급 계획 및 정책
3. 세계 전기자동차 보급 동향
4. 전기자동차 보급 시나리오 및 전망 사례
제3장 국내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1. 전망 개요 및 시나리오 설정
2. 승용차 등록 추이
3. 전체 승용차 시장 전망
4. 전기자동차 시장보급률 예측
5. 차종별 승용차 시장 전망 1
제4장 전기자동차 보급의 에너지수급 및 온실가스 배출 영향
1. 주요 선행 연구
2. 분석 방법 및 주요 가정
3. 분석 결과
제5장 V2G 효과 분석 및 정책 제언
1.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전력수급 안정 방안
2. V2G를 이용한 전력수요 관리 효과 분석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미리보기

전기자동차 보급의 에너지수급 영향 분석.pdfPDF
첨부
번호 | 제목 | 유형 | |||
---|---|---|---|---|---|
1 | 전기자동차 보급의 에너지수급 영향 분석.pdf | 3.5 MB |
- 1전기자동차 보급의 에너지수급 영향 분석.pdfPDF3.5 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