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5
에너지효율 어플(APPs)의 가계전력 소비 절감 효과 분석
- 연구책임자
- 조성진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ix vi x 239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5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93-204)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216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216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216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216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11년 9월 15일에 발생한 초유의 순환정전사태 이후 전력공급측면 외에 수요관리측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제5차 전력수급계획’에서도 우리나라의 전력수급은 2014년까지 불균형 상황이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어 단기적인 수급 불균형 해결을 위해 전기절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절실한 현실이다. 일본의 경우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부족한 하절기 및 동절기 전력공급을 해결하기 위해 15%의 절전을 요청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이고 자율적 참여 덕으로 15%이상의 절전목표를 달성하였다.
위 두 사건은 전력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전력수요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준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성공적인 가계전력절감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절약 피드백 정책수단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전통적으로 에너지 절약 피드백 수단인 교육책자, 홍보동영상, TV 광고 등의 수단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후쿠시마 사태이후 일본 절전사례에서 잘 보여준 것처럼 일본이 목표이상의 절전실적을 달성한데는 스마트폰의 역할이 매우 컸다. 즉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는 일종의 에너지 절약 피드백 수단으로 활용이 되어 시민들이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인지와 인식을 제고하고 실제 실천으로 이행하도록 도움을 줘 전력사용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이 사례는 최근 전 세계에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APPs))이 가계전력절감을 위한 피드백 수단으로 그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가계전력절감 피드백 수단으로서 스마트폰 앱의 절전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이 바로 이 연구가 필요한 이유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고서의 목적은 가계전력수요 절감을 위한 피드백 수단으로서 스마트폰용 에너지 절약 앱(APPs))이 실제 가계전력절감에 어는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증분석을 통해 먼저 앱기반(Application-based) 피드백 수단 자체의 가계전력절감 효과를 도출하고 병행해서 전통적인 피드백수단과의 절전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앱기반 피드백 수단이 가계전력 절감을 위한 실효적인 정책 수단인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제1절 이론적 배경
제2절 국내외 선행연구 사례의 고찰
제3절 국내외 피드백 실증 연구 사례
제3장 스마트폰 성장 전망 및 활용 방안
제1절 스마트기기 사용 현황 및 전망
제2절 에너지 효율 스마트폰 앱(Apps)의 활용 방안
제4장 실험조사 설계 및 연구 방법
제1절 연구 방법
제2절 연구 분석 방법 소개
제5장 설문 결과 요약 및 분석 겨로가
제1절 설문조사 문항별 요약 및 분석
제2절 분산분해(ANOVA)분석 결과: 사전 동질성 검증
제3절 분산분해(ANOVA)분석 결과
제4절 피드백 제공 전·후의 전력 사용량 변화 비교·분석
제5절 오픈(Open) 문항 정리 및 요약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