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7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바이오에너지 전과정평가(LCA): 바이오가스를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소진영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x vii vi 123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7
서지주기
참고문헌 (p.111-113)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165대출가능-
자료실P42216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16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16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부문별로 특화된 시장창출제도들이 확대 시행되어 바이오에너지의 보급이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에너지의 개발과 이용이 초래할 수 있는 식량과의 경쟁문제, 산림파괴 등의 사회, 경제, 환경적인 문제들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미 이러한 영향을 초래하지 않고 최소화하며 이용 및 개발을 확대하는 개념인 ‘지속가능한 이용 및 개발’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GBEP(Global Bioenergy Partnership)는 바이오에너지의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의 지속가능성 관련 지표를 개발하여 발표한 바 있다. EU에서는 2009년에 신재생에너지지침(Renewable Energy Directive, RED)에 지속가능성 기준(Sustainability Criteria)을 도입하여 이 기준에 적합하게 생산 및 이용되는 바이오에너지만을 회원국들의 보급량 산정에 포함하게끔 규정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화석연료를 대체함으로써 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일부를 감축할 수 있는데, 이는 바이오에너지의 제조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바이오매스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시 포집하여 순환시키기 때문이다. 지속가능성 기준의 지표 중 가장 중요한 정량적 지표의 하나는 이러한 바이오에너지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다. EU RED의 지속가능성 기준은 경제, 환경 및 사회적 측면 중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환경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바이오에너지가 대체하는 화석연료 대비 일정 기준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며, 이와 더불어 다른 기준들을 만족할 때 이를 지속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전 세계적인 우려와 추세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바이오에너지의 생산 및 보급을 확대할 수 있도록 염두에 두어야 하며, 이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바이오에너지가 지속가능하게 개발 및 이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 이를 통해 바이오에너지 전과정에서 환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지속가능성의 평가는 EU RED와 마찬가지로 환경성, 특히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초점을 두었으며, 방법론 역시 EU RED에서 채택한 전과정평가(Life Cycle Analysis, LCA)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한정된 시간을 고려하여 바이오에너지 중 바이오가스에 초점을 두었으며, 우리나라의 바이오가스 시설 총 50개 중 6개 시설을 대상으로 전과정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LCA를 수행하여 열, 발전 및 수송 부문의 바이오가스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바이오가스 기술 및 설비 현황 1. 바이오가스 개요 2. 바이오가스 기술 현황 3. 국내·외 바이오가스 설비 현황 제3장 지속가능성 기준 1. 지속가능성의 정의 2. 주요국 지속가능성 기준 도입 현황 3. EU의 지속가능성 기준 제4장 LCA 방법론 고찰 및 모형 설정 1. LCA 개요 2. 선행연구 현황 3. 바이오가스 LCA를 위한 모형 설정 제5장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1. 분석 대상 바이오가스 설비 개요 2. 기능단위 및 할당 방법 3. 가정 및 제한 사항 4. 투입·배출 데이터 5. 시설별 온실가스 배출량 제6장 결과 해석 및 지속가능성 평가 1. 바이오가스 생산시설별 환경성 평가 2. 바이오가스 설비의 지구온난화 분야 지속가능성 평가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1: 우리나라의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부록2: 에너지원별 발열량 및 온실가스 배출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