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8Study on Forecasting New and Renewable Energy Demand in Korea

국내 신재생에너지 수요예측모형 개발 및 운용

연구책임자
이철용
연구참여자
김보미, 허성윤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v vii ix 149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18
서지주기
참고문헌 (p.132-13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167대출가능-
자료실P42216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16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16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문제뿐만 아니라 석유와 같은 화석에너지 가격의 높은 변동성으로부터 회피하기 위해서라도 화석에너지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온실가스 감축과 화석에너지 자원의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용이 불가피하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미래의 먹거리 산업으로 제2의 반도체 산업 및 조선 산업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국내 시장 초기 상태에 있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시장에서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향후 발전 가능성이 있는 신재생에너지원을 분별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육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육성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현재 초기 상태에 있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정확한 수요 예측치를 도출할 수 있는 발전된 전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국내 신재생에너지源별 수요 예측을 통해 어떤 기술이 시장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있고 나아가 기업 또는 국가의 미래 생존 전략이 될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을 제언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수요 촉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신재생에너지 시장 전망 자료와 수요촉진 정책 제언은 신재생에너지 산업 정책 입안자 및 기업 실무가들이 전략 수립 시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 확산모형 2. 기존 신재생에너지 전망 모형 제3장 연구의 배경 1.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제4장 방법론 1. 모형 개요 2. 1단계: 원별 가격 함수 추정 3. 2단계: 원별 수요 전망 4. 3단계: 부문별 전망 5. 4단계: 전체 신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제5장 추정 결과 및 전망 1. 1단계: 원별 가격 함수 추정 2. 2단계: 원별 수요 전망 3. 3단계: 부문별 전망 4. 4단계: 전체 신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제6장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제언 1. 경제적 지원 2. 비경제적 지원 3. 신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의 상대적 중요도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수요 예측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