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2-2722-87-01A study on ESG in Energy Sector and the Role of Green Financing
녹색에너지협동연구: 에너지부문의 ESG 경영 환경 조성을 위한 녹색금융 지원 방안 연구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
- 형태사항
- xv 177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2-27 22-87-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7-147)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32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32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32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32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 국제기구와 각국의 중앙은행은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될 금융 시스템의 물리적 및 전환 리스크는 필연적이며 이는 기존의 금융위기 대응책으로는 회복시키기 어려운 규모일 것으로 예상
○ 화석연료에 기반하거나 탄소집약도가 높은 전통적 에너지기업은 ESG 중 특히 환경(E) 측면에서 리스크가 높아 ESG 투자가 확산되는 경영 환경에 대비필요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ESG 경영에 대한 이해
○ 2005년 유엔이 글로벌 금융기관들에 ESG 측면을 고려한 투자를 권고하면서 ESG 투자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 확대
○ ESG와 관련된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수단은 크게 ESG 채권과 은행권의 ESG 금융 상품으로 구분
■ESG 경영 촉진을 위한 제도화 동향
○ 유럽은 EU를 중심으로 선도적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정보 공시를 제도화
○ 우리나라는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제도가 2017년부터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에 대하여 자율공시 형태로 도입된 이후 점차 의무화 대상 범위 확대
■에너지부문 ESG 경영 현황 분석
○ 국내외 주요 에너지기업은 친환경, 넷제로 등의 환경 분야에 특히 주안점을 둔 ESG 경영 목표를 선포하고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각의 분야에 적극적으로 관여
○ 국내 에너지 대기업 중에서는 SK 이노베이션이 2050년 이전 넷제로 달성 목표를 선포하고, Scope 3 배출량을 포함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시
■에너지부문 ESG 평가 분석
○ 국내외 주요 ESG 평가기관에는 MSCI, S&P, Refinitiv Eikon, 한국ESG기준원, 서스틴베스트, 한국ESG연구소 등이 있음.
○ 국내외 에너지부문 ESG 점수를 한국기업지배구조원과 MSCI 각각의 ESG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① 국내 에너지부문 기업과 비에너지부문 기업의 ESG 점수 비교, ② 국내외 주요국(한국,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에너지기업의 ESG 점수 항목별 비교분석, ③ 국내외 기업의 ESG 점수 변화와 EU의 NFRD 도입 간의 관계 실증분석 실시
○ 국내에서 에너지기업의 ESG 점수는 비에너지기업에 비해 높지만, 글로벌 주요
■에너지부문 ESG 경영 개선을 위한 녹색금융 지원 방안
○ 국내외 ESG 평가 체계하에서 국내 에너지기업의 환경(E) 경영 성과는 높게 평가되기 어려운 구조
○ 중소 협력업체의 경우 ESG 경영 요구 확대로 인해 외부자금 조달 환경, 구매자 환경, 공급자 환경의 변화를 맞게 되며 이와 관련한 리스크 발생
○ 기업의 환경(E) 사업 자금조달 확대의 측면에서 기존의 녹색금융 활용에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추가적 수단으로 최근에 도입되고 있는 지속가능연계 채권·대출 확대 필요
○ ESG 개선을 위한 녹색금융 활용 시 발생하는 외부비용에 대한 지원 확대 필요
○ 세제 및 현금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투자 유치 필요
○ ESG 경영으로 인한 단기적 기회보다는 리스크가 더 큰 중소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비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추가적으로 필요
3. 결론
○ ESG 투자 원칙이 확산되어감에 따라 기업의 자금조달에서 비재무적인 ESG 경영 성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유럽이 선도적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정보 공시 및 공급망 내 ESG 관리를 법제화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비재무적 정보 공시 의무화 범위가 확대될 예정
○ 국내외 에너지부문 기업의 ESG 경영 현황 및 ESG 점수를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주요 에너지기업은 국내 비에너지기업에 비해 ESG 평가 점수가 더 높으나, 해외 주요 에너지기업과 비교할 경우 전반적인 ESG, 특히 환경(E) 분야 평가에서 개선의 여지가 크다는 점을 확인
○ 국내 에너지기업의 ESG 경영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은, 대기업 및 공기업의 경우 혁신 기술 개발 및 도입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 환경 경영에 대한 지원 및 유인책이 필요하며, 중소 협력업체의 경우 잠재적 자금조달 리스크, 공급망 제외 리스크, 전반적 비용 증가 리스크가 존재함을 확인
○ 국내 에너지기업 ESG 경영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지속가능연계채권·대출 확대, 녹색금융 이용 시에 발생하는 외부비용 지원 확대, 세제 및 현금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투자 유치, 중소 협력업체의 비재무정보 공시 지원을 제시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및 차별성
3. 연구 방법 및 주요 내용
제2장 ESG 경영에 대한 이해
1. ESG 개념
1.1. ESG 경영의 개념
1.2. 공급망 ESG 관리의 개념
2. ESG 투자와 녹색금융
2.1. ESG 투자의 개념
2.2. 녹색금융의 개념
3. ESG 금융수단과 시장 현황
3.1. 국내외 ESG 채권
3.2. 국내 은행권 ESG 금융수단
4. 소결
제3장 ESG 경영 촉진을 위한 제도화 동향
1. 유럽의 ESG 제도화 동향
1.1. 비재무정보 및 다양성 공시 제도
1.2. 공급망 실사제도
2. 국내 ESG 제도화 동향
2.1. 현행 기업공시 제도 및 의무화 전망
2.2. 공급망 ESG 관리 지원제도
3. 소결
제4장 에너지부문 ESG 경영 현황 분석
1. 에너지부문의 정의
2. 해외 주요 에너지기업의 ESG 경영 현황
2.1. Shell(Royal Dutch Shell)
2.2. BP(British Petroleum)
2.3. TotalEnergies
2.4. Iberdrola
2.5. E.ON
3. 국내 주요 에너지기업의 ESG 경영 현황
3.1. SK 이노베이션
3.2. 에쓰오일
3.3. 현대오일뱅크
3.4. 한국전력공사
3.5. 한국수력원자력
3.6. 한국가스공사
4. 소결
제5장 에너지부문 ESG 평가 분석
1. 주요 ESG 평가 체계
2. 국내 에너지기업의 ESG 평가 등급 분석
2.1. 에너지부문 ESG 평가 현황
2.2. 에너지부문의 ESG 평가 등급 비교
3. 에너지기업의 ESG 평가 항목 비교 분석
3.1. 주요 에너지기업의 ESG 성과 비교
3.2. ESG 구성 요소별 비교
4. 에너지기업의 ESG 평가와 ESG 촉진 정책 간의 관계 분석
4.1. 선행연구
4.2. 데이터 및 모형
4.4. 분석 결과
5. 소결
제6장 에너지부문 기업 ESG 경영 개선을 위한 녹색금융 지원 방안
1. 에너지기업 ESG 경영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
1.1. 대기업의 ESG 평가 관련 취약점
1.2. 중소 협력업체의 ESG 경영 리스크
2. 에너지기업의 ESG 경영 개선을 위한 녹색금융 지원 방안
2.1. 채권의 활용성 확대
2.2. 대출의 활용성 확대
2.3. 외부검토 비용 지원 확대
2.4. 세제 및 현금 인센티브 제공
2.5. 중소 협력업체에 대한 비재무정보 공시 지원
3. 소결
제7장 결론
1. 주요 내용 요약
2. 녹색금융 지원 방안
참고 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