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연구자료 05-02

에너지 소비구조 및 에너지 원단위 변화 분석: 1990-95-2000 접속불변산업연관표 이용

연구책임자
박광수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형태사항
49 p
총서사항
KEEI 연구자료 05-02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3)
자료실N700341대출가능-
자료실P415284대출가능-
자료실P415285대출가능-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N7003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528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528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1995년 이후 에너지 원단위 개선의 주요인은 에너지 절약 및 이용효율 개선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됨  - 총투입 중 중간재(에너지 포함) 투입비중은 1995년 57.04%에서 2000년 56.99%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에너지 투입비중은 동 기간 3.78%에서 3.18%로 감소  - 산업구조 변화에 의한 원단위 개선 효과는 1990년대에는 크지 않았으나 2000년대 들어서 전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전망임 ○ 에너지 절약 및 이용효율 개선을 통한 에너지 원단위 개선 노력 시 물량 기준의 원단위뿐만 아니라 금액 기준 원단위 개선도 고려해야 함  - 에너지 소비의 국민경제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측면에서는 금액기준의 분석이 더욱 적합할 수 있음. 또한 단순한 물량기준의 분석 시 각 에너지가 지니고 있는 특성이나 질을 고려하지 못하나 금액기준에서는 일부 이러한 점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임 ○ 에너지 소비지출 가운데 민간부문의 비중이 크게 증가  - 에너지 소비지출 증가 기여도를 보면 민간부문이 산업부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남. 민간의 에너지 소비구조와 에너지원별 가격구조를 고려할 때 이러한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 에너지 이용효율의 개선뿐만 아니라 에너지 가격구조의 합리적 개편을 통해 민간부문의 에너지 소비지출 부담 경감 필요
목차
1. 산업구조 2. 에너지 소비구조 3. 중간투입 중 에너지투입 비중 4. 총산출 에너지 원단위 5. 부가가치 에너지 원단위 6. 요약 및 시사점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