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0-06
국제에너지협력 편익극대화 방안을 통한 국가별 권역별 협력전략개발 연구
- 연구책임자
- 박용덕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259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0-06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40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40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40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40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의 다자 및 양자 에너지협력 활동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국내이슈와 국제협력활동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에너지국제협력이 국내 이슈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채널화가 가능해져 향후 우리나라의 다자 및 양자 에너지협력 활동이 보다 적극적인 대내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협력의 편익극대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가별, 권역별 전략이 최근의 에너지 이슈를 반영하여 새롭게 구축되어야 한다. 이때, 우리나라 국내에너지정책 목표의 이슈별 협력필요성을 정리하여 국가별 협력가능성을 파악한 후, 필요한 경우 권역별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각 권역별 협력전략도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국제에너지협력활동을 추진함에 있어 국내에너지정책 목표 달성에 필요한 국제협력활동의 연계성을 발굴하여 다자 및 양자 협력활동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국내에너지정책 목표의 이슈별 국제협력 필요성을 분석하여 우리의 필요성과 국가별, 권역별 상황을 동시에 고려한 국가별?권역별 에너지국제 협력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목차
제Ⅰ장 서 론
제Ⅱ장 국제 에너지협력활동의 현황과 전망
1. 국제에너지협력의 사례 분석
2. 국제에너지협력기구의 활동 범주 및 현황
3. 기후변화 대응관련 에너지협력 활동
4. 국제에너지협력의 주요 추세
제Ⅲ장 국제에너지협력의 편익 및 극대화방안
1. 국제협력의 편익
2. 국제에너지협력의 편익
3. 국제에너지협력의 편익극대화 방안
제Ⅳ장 우리나라 다자 및 양자 에너지협력 전략
1. 우리나라 다자에너지 협력 활동
2. 다자협력활동과 국내 에너지정책목표와의 연계성 강화
3. 다자협력활동과 에너지정책 수립시 해외사례 활용강화
4. 우리나라 양자 에너지협력 활동 추진 현황
5. 양자협력과 국내에너지정책목표와의 연계성 강화
6. 양자협력과 자원개발 및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협력활동 강화
7. 양자협력과 에너지기술개발 정보교류 채널확대
8. 양자협력과 에너지부문 투자불확실성 완화
제Ⅴ장 에너지정책 주요목표별 국가별?권역별 협력전략
1. 에너지사용 효율의 개선
2.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 확대 및 성장동력화
3. 해외자원개발 역량 확충
4.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5. 에너지의 안정적공급을 위한 국제협력사례: 동북아 오일허브 현황 및 전망
제Ⅵ장 정책적 시사점
1. 에너지국제협력 활동의 집중 대상 선정
2. 향후 국제에너지협력의 방향성
참 고 문 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