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0-01
중소도시 농어촌 난방용 에너지의 합리적 공급방안
- 연구책임자
- 박광수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90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0-01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39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39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39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39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00년대 들어 사회적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추세가 지속되었다. 2009년 국제경제의 침체로 유가가 하락하였지만 경기가 회복되면서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었다. 양극화 심화와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저소득가구의 에너지 소비여건이 크게 악화되어 정부도 다양한 에너지 지원 정책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중소도시와 농어촌 지역은 대도시에 비하여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는 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국 중소도시와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의 에너지 소비여건이 대도시에 비하여 악화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중소도시와 농어촌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석유를 난방연료로 사용하는 가구의 비중이 높은데 이는 도시가스에 대한 접근성 제약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정부는 에너지복지 측면에서 경제성이 부족하여 도시가스 공급지역에서 제외되었던 지역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중소도시와 농어촌에 거주하는 가구의 난방비용을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에너지인 도시가스의 보급을 확대하는 것은 에너지복지 측면에서 고려할 만한 정책이나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문제가 있으며, 경제성이 부족한 지역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지역 간 교차보조의 문제를 야기하는 등 경제의 효율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
중소도시와 농어촌에 거주하는 가구의 난방비용을 경감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는 합리적인 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에 대한 난방용 에너지의 합리적 공급방안을 모색하고 이러한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의 에너지비용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한다.
목차
제Ⅰ장 서 론
제Ⅱ장 가정부문 난방형태
1. 행정단위별 난방형태
2. 농림어업가구 난방형태
3. 소득구간별 난방형태
제Ⅲ장 난방용 에너지가격 현황과 문제점
1. 난방용 에너지가격 결정방식
2. 난방용 에너지가격 추이 및 문제점
3. 가정용 에너지가격 국제비교
제Ⅳ장 난방용 에너지 공급방안
1. 도시가스 보급 확대
2. 목재펠릿 보급 확대
3. 난방용 에너지가격체계의 개선
4. LPG 유통구조의 개선
제Ⅴ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