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0-17

2012년 이후 국제 탄소시장 전망 및 활용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오인하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형태사항
177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0-17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0428대출가능-
자료실P42042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042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042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2012년 이후 탄소시장에 대한 전망과 관련 많은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이다. 2010년 독일 쾰른에서 열린 카본엑스포에서 UN 기후변화협약 전임 사무총장인 Yvo de Boer는 코펜하겐에서의 합의의 실패, 금융위기 상황,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증거의 부족 및 국제협상에 대한 관심 저하와 불확실성 증대 등을 기후변화 관련 투자 저하 및 탄소시장 위축의 원인으로 꼽았다. 그리고 더디게 진전되는 기후변화 관련 국제협상 외의 다른 동인들, 즉 에너지가격 및 안보, 소비자선호의 변화, 기업의 지속가능성 등의 여러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향후 탄소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이라 전망하였다. 실제 EU가 기후변화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 것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가스 파이프라인 관련 분쟁으로, 이 사건으로 인해 EU의 에너지 안보 체제에 경종을 울리게 되었고 기후변화에 대해 전향적으로 접근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저탄소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선호 변화, 그에 따른 기업의 지속가능성장 전략의 연계가 없는 각국의 배출규제 만으로는 현재 합의된 향후 2℃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 전망하였다. 여기서 보듯이, 앞으로의 탄소시장은 국제협상에 따른 탄소시장 프레임워크의 진화와 함께 여러 산업의 다각적인 탄소시장 활용에 의한 수요 확대에 의해 성장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망 하에서 본 연구는 2012년 이후의 탄소시장의 정성적?제도적 및 정량적 전망과 함께 각 산업별, 즉 금융 산업, 제조업 및 중소기업의 탄소시장 활용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해 불확실한 2012년 이후 국제 탄소시장의 모습 및 수급을 전망하고, 우리나라의 국제 탄소시장 활용 전략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정성적 분석을 통해 2012년 이후 국제 탄소시장의 모습을 구체화하고, 정량적 분석을 통해 국제 탄소시장 수급을 전망하고자 한다. 또한 전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국제 탄소시장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활용 전략은 금융 산업, 제조업 및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도출되었으며 산업계의 변화하는 탄소시장 상황 하에서의 대응전략의 동향 및 전망을 포함하였다.
목차
I. 서 론 Ⅱ. 탄소시장의 개요 및 현황 1. 탄소시장의 정의 및 구조 2. 세계 탄소시장 현황 Ⅲ. 2012년 이후 국제 탄소시장 전망 1. Post-2012 기후변화 협상동향 및 전망 2. 2012년 이후 탄소시장 수급 및 가격 전망 3. CDM의 진화 및 신규 메커니즘 4. 2012년 이후 국제 탄소시장의 제도적 변화 전망 Ⅳ. 국내외 금융기관의 탄소시장 참여 동향 및 활성화 방안 1. 해외 금융기관 2. 국내 금융기관 3.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금융지원 방안 4. 배출권거래제와 금융기관의 참여 5. 소결 Ⅴ. 제조업의 탄소시장 활용 전략 1. 논의의 범위와 내용 2. 기후변화 관련 정책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3. 제조업의 탄소시장의 활용 가능성 및 전략 제시 4. 소결 Ⅵ. 중소기업의 탄소시장 활용 전략 1. 논의의 배경과 내용 2. 중소기업에게 탄소시장의 의미 3. 중소기업의 탄소시장 활용 가능성 및 전략 제시 4. 소결 Ⅶ.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