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30

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 중남미 국가 에너지자원 공급력 조사 연구

연구책임자
정규재
연구참여자
송지혜, 고유경, 이광우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형태사항
xixvxi269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1-30
서지주기
참고문헌 (p.265-269)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335대출가능-
자료실P42133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3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33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최근 석유가스 E&P 분야는 Easy Oil이 소진되어감에 따라 오일 셰일 등 비전통 석유자원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는 상황에 있다. 세계 전반적인 경제 불황에 따른 E&P 분야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메이저 석유 기업들은 E&P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발표하였으며 특히 천연가스 개발과 오일 셰일 등 비전통 석유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간 천연가스 개발은 석유 개발보다 비용 대비 수익이 적어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어 왔던 것을 감안하면 향후 가스부분 투자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향후 소비 측면에서 인도, 중국 등 신흥시장의 석유 및 천연가스에 대한 소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 세계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남미 지역은 최근 들어 새로이 석유 및 천연가스 부존지역이 발견되고 개발됨에 따라 세계 석유 및 천연가스 공급시장에서 주목받는 신흥 공급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매장량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상류부문 개발이 주로 석유분야에 치중되어 있어 천연가스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중남미 지역에서의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만 중남미 지역이 정치, 경제적 상황과 지리적 특징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이 지역의 에너지 공급력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중남미지역 일반 현황 1. 중남미 지역현황 2. 중남미 지역 경제현황 3. 중남미 지역협력 현황 4. 중남미 지역 정치 현황과 에너지정책 제3장 중남미 지역 에너지?자원 현황 1. 석유자원 현황 2. 천연가스 자원 현황 3. 광물자원 제4장 중남미 지역의 에너지?자원 공급력 전망 1. 석유자원 공급력 전망 2. 천연가스 공급력 전망 3. 광물자원 공급력 전망 4. 중남미 주요국의 투자환경 분석 제5장 결 론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