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0-04

국제 유가의 단기변동성과 금융변수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송무헌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형태사항
88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0-0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0402대출가능-
자료실P42040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040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040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2003년부터 촉발된 국제유가 상승세는 중국을 비롯한 신흥경제국의 석유 수요 증대와 산유국의 미비한 석유 공급 능력의 결과라는 설명이 주류 경제학의 입장이었으며 이후 수년 동안 국제 석유 실물 시장의 타이트한 수급상황은 국제유가 분석의 핵심 설명 변수로 활용되어 왔다. 수급 원인에 무게를 두는 쪽은 대부분 경제학자들인데 대표적으로 Krugman(2008), Hamilton(2009), Kilian(2008)이 있다. 그러나, 석유 선물 시장의 거래 규모 급등, 미국 달러화 가치의 변화, 에너지 펀드 자금 규모 확대와 같은 국제 금융 및 자본 시장 요소들이 국제 유가의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면서, 더 이상 국제 석유시장을 상품시장이 아닌 금융시장으로서 설명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국제 금융 및 자본 시장 요소의 원유 가격 파급 효과를 분석한 현존 연구들은 매우 피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기에, 국제 원유 시장의 金融化 진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명확한 실증 방법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검증된 금융시계열 방법론을 통해 국제 원유 시장의 금융화 여부를 살펴보고, 국제 유가에 미치는 주요 금융 및 자본 시장 변수를 추출해 내고자 한다. 또한 실물 수급에 기반을 둔 전통적 유가 모형의 단기 전망 능력 극대화를 위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어떠한 연구가 따라야 하는 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한다.
목차
제Ⅰ장 서 론 제Ⅱ장 유가변동성 확대에 대한 논의: 상품(Commodities)의 금융화 1. 전통적 수급요인 가격 결정 견해 2. 원유시장의 금융시장화를 옹호하는 견해 제Ⅲ장 실증 분석 1. 비통계적 분석: 그래프 분석 2. 기본 통계적 분석 3. Regime-switching 방법론 4. 국제유가와 금융변수간의 상관관계: 국제원유시장의 '호황기' vs. '비호황기' 제Ⅳ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부 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