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3Proliferation and implications of anything as a service in the power sector

전력 부문 서비스화(as a Service)확산과 시사점

연구책임자
박찬국
연구참여자
유경진, 남유민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형태사항
viii iii 118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3
서지주기
참고문헌(p.63-74)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6120대출가능-
자료실P42612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612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61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전통적으로 소프트웨어 벤더(vendor)나 IT 서비스 업체가 제공해왔던 서비스화(as a service) 사업모델이 전력산업에서도 빠르게 확산 중 - 서비스화 모델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벤더가 소유, 운영, 관리하면서 고객들에게 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사업 유형이며, 고객은 종량제 요금 또는 월정액 형태로 비용 지불 ○ 전력 부문 사업모델이 전력사업자 자체적으로 대응하는 형태에서 제3 기업과 공동 협력하거나 위탁하는 형태로 변화하는 현상은 기존과 차별적인 상황으로 그 양상을 심층 이해 필요 - 전력 부문 서비스화의 전개 방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력산업의 변화방향 가늠 가능 ○ 디지털화와 분산화가 서비스화 모델 확산의 핵심 동인이며, 전력산업을 포함한 에너지산업에서 앞으로 서비스화 모델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서비스화 모델 확산으로 인해 전력산업은 더욱 자동화될 것이고, 데이터가 핵심 역량인 시장으로 변해갈 전망 ○ 전력 또는 에너지 신시장 발전을 위해 어떤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공유되고 활용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논의 요구 - 특정 서비스 중심적으로 발전안을 만들기보다는 디지털화에 따른 산업 발전 차원에서 포괄적 규제안 정립 필요 - 최근 이루어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넘어 전기사업법 등 전력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법률의 변화 방향을 함께 모색 ○ 현재 존재하는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기술혁신의 장을 넓히는 노력 중요 - 이해갈등이 심한 이슈에 대해서는 보다 개방적이고 투명한 형태로 정보를 알리고 사회적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중요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서비스화(as a service) 개념과 참여자 1. 서비스화(as-a-service) 개념과 특징 2. 전력 부문 서비스화 참여자 제3장 에너지부문 서비스화 모델의 확산 추이 1.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2. 에너지 부문 서비스화 모델 빈도와 비중 변화 3. 에너지 부문 서비스화 모델별 개념 4. 에너지 부문 서비스화 모델별 주요 사례 제4장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