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1-22Biennial Transparency Report of the Paris Agreement on Korean Energy Sector

에너지 부문의 파리협정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작성기반 구축 연구(1/3)

연구책임자
노동운
연구참여자
김수인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형태사항
xii 125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21-22
서지주기
참고문헌(p.121-125)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7076대출가능-
자료실P427077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70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707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우리나라는 파리협정에 의해 제1차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를 2024년 말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음. ○ 국가 배출량의 가장 큰 비중을 에너지 부문이 차지하기 때문에 에너지 부문의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작성은 에너지 전문기관이 작성하는 것이 합리적임. ○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내용 중에서 자발적 기여의 진전 추적 정보가 파리협정의 이행 과정을 점검하는 핵심적인 내용임. ○ 제1차 연도 연구(2021년)의 목적은 자발적 기여의 진전 추적에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에너지 부문의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에 포함될 내용을 분석하는 것임. 2. 연구 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국가 여건과 자발적 기여에서는 우리나라 감축목표 상향을 강조하여 서술 ○ 자발적 기여 이행을 담당하는 조직, 2030년 감축목표의 대폭 강화,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배출의 탈동조화 추이를 강조할 필요가 있음. ■ 자발적 기여 진전 추적은 지표, 자발적 기여산정, 구조화된 요약표 중심으로 작성 ○ 자발적 기여 진전 추적 지표는 자발적 기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지표를 선정, 자발적 기여 산정은 IPCC 지침을 준수, 구조화된 요약표는 공통의 표양식 활용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 ■ 정책 및 조치는 부문별 온실가스 실적 및 예상 감축량 중심으로 작성 중요 ○ 시행 및 시행 예정인 정책 및 조치는 IPCC 2006 지침의 구분에 따라 분류하고 정책 및 조치별 실적 및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함. - 정책 및 조치는 인벤토리 작성 지침인 IPCC 2006 지침의 구분을 준수하되 전환부문, 산업부문, 수송부문, 가정부문, 상업부문, 공공부문으로 구분하는 것이 합리적임. - 정책 및 조치별 온실가스 감축 실적과 목표 연도까지의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은 이용 가능한 정보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 3. 결론 및 정책제언 ■ 결론 ○ 제1차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파리협정 이행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발적 기여 진전 추적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음. ■ 정책제언 ○ 정책 및 조치의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 및 감축 비용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구축 연구가 강화될 필요가 있음. ○ 대응조치 이행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 구축 필요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파리협정의 투명성 체계 1. 파리협정 구조와 투명성 보고서 1.1. 파리협정의 구조 1.2. 파리협정 구조와 격년 투명성 보고서 2. 파리협정의 장기 목표와 격년 투명성 보고서 2.1. 장기 목표와 이행 원칙 2.2. 파리협정 장기 목표 및 이행 원칙과 격년 투명성 보고서 3. 파리협정의 자발적 기여와 격년 투명성 보고서 4. 파리협정의 완화와 격년 투명성 보고서 4.1. 파리협정의 완화 4.2. 파리협정 결정문의 완화 4.3. 파리협정 결정문의 완화 추가 지침 4.4. 완화와 격년 투명성 보고서 5. 파리협정의 투명성 체계와 격년 투명성 보고서 5.1. 파리협정 제13조의 투명성 체계 5.2. 파리협정 투명성 체계 결정문의 주요 내용 5.3. 파리협정 투명성 체계와 격년 투명성 보고서 6. 파리협정 투명성체계의 세부이행규칙 6.1. 투명성 체계 세부이행규칙의 구조 6.2. 국가 여건 및 제도 6.3. 자발적 기여 설명 6.4. 자발적 기여의 진전 추적 정보 6.5. 정책 및 조치 6.6.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 제3장 파리협정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작성 방향 1. 격년 투명성 보고서 및 인벤토리 보고서 구조 1.1. 격년 투명성 보고서 구조 1.2.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 구조 2. 파리협정 투명성 보고서의 차별성 2.1. 기존 투명성 체계와의 차이 2.2. 파리협정 투명성 보고서의 역량 강화 필요 부문 3. 격년 투명성 보고서의 자발적 기여 진전 추적 정보 3.1. 국가 여건 및 제도 3.2. 자발적 기여 설명 3.3. 자발적 기여 진전 추적 정보 3.4. 완화 정책 및 조치 3.5.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 요약 3.6.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 전망 제4장 결어 참고문헌
미리보기

에너지 부문의 파리협정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작성기반 구축 연구(1/3).pdfPDF

첨부
번호제목유형
1에너지 부문의 파리협정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작성기반 구축 연구(1/3).pdfPDF2.8 MB
  • 1에너지 부문의 파리협정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작성기반 구축 연구(1/3).pdfPDF2.8 MB
주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