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7-11A Study on Improving Institutions of Introducing Electric Vehicles in the Freight Transportation Sector

화물 수송부문 전기차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석주헌
연구참여자
강성민, 윤다솜, 김철환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형태사항
ⅷ ⅹ ⅵ 97p
총서사항
KEEI 수시연구보고서 17-11
서지주기
참고문헌(p.83-95)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4922대출가능-
자료실P42492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492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492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전기자동차(이하 ‘전기차’) 보급·확산은 수송부문의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를 줄여 대기오염 문제를 완화하고 에너지이용 효율 개선에도 상당부분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세계 각국은 전기차 보급·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3%가 수송부문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기차 보급·확산은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총 25만대 전기차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2016년 기준 누적 보급대수는 1만대에 그치고 있어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기차 보급 목표 달성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승용전기차뿐만 아니라 화물트럭과 같은 화물 수송부문에서도 전기차 보급이 시급하다. 또한 1톤 이하의 소형화물차는 경유화물차의 약 81%(2015년)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소형 경유화물차를 전기차로 전환하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감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전기화물차 도입여건 및 문제점을 진단하여 화물차 시장에서 전기자동차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소형 화물차 시장에서 전기차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제도 개선방안 제시에 중점을 둔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화물차 및 전기화물차 현황  제1절 국내 화물차 및 전기화물차 현황  제2절 세계 화물차 및 전기화물차 전망  제3절 국내 소형 전기화물차 개발 현황  제4절 해외 전기화물차 개발 현황 제3장 전기화물차 도입사례 및 관련 정책  제1절 국내외 전기화물차 도입사례  제2절 국내외 (화물) 전기차 보급 계획 및 지원 정책 제4장 국내 화물차의 전기자동차 도입환경 및 선결과제  제1절 화물 수송부문의 전기자동차 도입여건 분석  제2절 화물차의 운행 특성 파악을 통한 전기화물차 도입여건  제3절 전기화물차의 충전인프라 구축여건  제4절 국내 소형 전기화물차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 제5장 화물차의 전기자동차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제1절 보조금 지원 체계 개선 및 추가 인센티브 확대  제2절 자동차 제조사의 친환경차 의무판매제 도입  제3절 노후 경유차의 운행제한제도 확대 및 단계적으로 기준 강화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1> 화물자동차의 유류(유가)보조금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