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4Power Generation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PV
주택용 태양광 설치 가구의 전력 생산・소비 특성 분석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
- 형태사항
- ix 75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2-1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73-7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30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30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30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30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 주택용 태양광은 사업용 발전소와 다르게 발전 특성 및 설비 관리 실태와 이와 더불어 전력 소비 패턴에 대한 자료를 취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역송량과 자가소비량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재한 상황임.
■연구 목적
○ 이에 본 연구는 태양광 설치 가구의 전력수요 및 공급 패턴을 분석하고 미설치 가구와 전력 소비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전력계통 영향분석에 기초자료를 제공함.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전력생산 특성 분석
○ 주택용 태양광의 만족도는 높으며 지원 제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음.
○ 발전은 사업용에 비해 부족하며 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큼.
■전력 소비 특성 분석
○ 태양광 설치 가구가 전력을 더 많이 소비하고 냉난방에 적극적임.
○ 시간대별 태양광 설치 가구의 순수요 변화는 크고 봄철에 두드러짐.
○ 3kW 설비를 설치한 가구 기준 연간 자가소비율은 0.40, 자가공급률은 0.28로 추정됨.
■주택용 상계 제도 개선 효과
○ 자가소비 제고를 유인하기 위해 상계거래에서 수용가에 캘리포니아 NEM 2.0과 같이 계시별 요금제를 의무적으로 적용할 경우 자가용 태양광 설치 수용가의 자가소비 제고 유인을 제공하나 태양광 설비의 경제성을 저하시킴.
3. 결론
■정책적 시사점
○ 계시별 요금제를 의무적 선택하는 상계 제도를 도입 시에는 태양광 설비의 경제성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함.
○ 기본료를 kW로 책정하는 방식은 고정비가 태양광 미설치 수용가에 전가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나 모든 상계거래 대상자에게 일괄적으로 기본료 방식을 변경할 경우 기본료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됨.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구성
제2장 전력 생산 특성 분석
1. 주택용 태양광 설치·관리 성과
1.1. 2019년 가구에너지패널조사
1.2. 주택용 태양광 설치·관리 성과
2.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성과 및 특징
2.1. 스마트미터링 자료
2.1.1. 기존 연구
2.1.2. 자료 수집의 의미
2.1.3. 자료 수집과 보정
2.1.4. 기상 자료 활용
2.2. 발전 성과 및 특징
2.2.1.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성과
2.2.2. 주택용 태양광 발전의 기상 요인
2.2.3. 주택용 태양광 발전 특징
제3장 전력 소비 특성 분석
1. 전력 소비 패턴
1.1. 전력 소비, 잉여 전력, 수전 전력 패턴
1.1.1. 전력 소비
1.1.2. 잉여 전력
1.1.3. 수전 전력
1.2. 자가소비율과 자가공급률
1.2.1. 자가소비율
1.2.2. 자가공급률
2. 전력 소비 분석
2.1. 선행 연구
2.2. 자료와 회귀 모형
2.3. 추정 결과
제4장 주택용 태양광 상계 제도 개선 효과
1. 가정 및 시나리오 설정
1.1. 가정
1.2. 시나리오
2. 시나리오 분석
2.1. 전기요금 영향
2.2. 기본료 수입 영향
2.3. 소결
제5장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