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6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제도 개선 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이승문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ⅶ ⅴ ⅶ 164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7-2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9-146)수록
- 키워드
-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자동차 선호도, 행위자 기반모델(AB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4866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486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486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486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정책은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이다. 초기 전기자동차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정책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의 규모는 싱가포르와 프랑스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차 판매 시장에서 전기자동차 판매 비중은 2016년 기준 약 0.3%에 지나지 않는다(IEA, 2017 p.49). 이는 우리나라의 전기자동차 보조금 제도가 현재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방증일 수 있다. 전기자동차 보조금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에 중요한 정책인 현실에서 그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다면, 그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외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의 동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이 갖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둘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소비자가 현재 우리나라 전기자동차에 갖는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셋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이 전기자동차 확산에 미치는 효과와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의 동태적 경로를 살펴본 후, 넷째,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을 위한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선행 연구 및 성공·실패 사례
1. 선행 연구
2. 성공 사례
3. 실패 사례
제3장 국내·외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동향
1. 전기자동차 및 충전 인프라 보급 동향
2. 해외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정책
3. 국내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정책
제4장 소비자 자동차 선호도 조사
1. 설문 조사
2. 조사 결과
3. 자동차 선택
제5장 시뮬레이션 분석
1. 모델 설계
2. 모델 구현
3. 시나리오 분석
4. 시사점
5. 한계점 및 기여점
제6장 구매보조금 제도 개선 방안
1. 네트워크 효과 확대 방안
2. 도덕적 해이 개선 방안
3. 장기적 계획 개선 방안
4. 소비자로서 긍정적 외부성 이전 개선 방안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