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8-13
미래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기반구축 연구: 수소에너지 시스템 도입의 비시장요소 가치 산정
- 연구책임자
- 안지운
- 연구참여자
- 원두환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 형태사항
- v iv v 150 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08-1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4-137)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1849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1849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1849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1849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소비자 선호 분석을 위해 수소에너지 시스템 관련 현황 조사를 통해 관련 기술의 주요 속성 및 특징을 파악하고 조직화된 설문을 이용하였다. 수소연료전지자동차의 경우 소비자 선호를 조사할 만한 시장이 구축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상적인 상황에서의 선택 양상을 조사 소비자가 시장에서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을 유사하게 재현해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처럼 가상의 상황을 통하여 소비자의 선호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게 할 수 있는데, 본 보고서에서는 그 중에서도 다속성 효용이론에 기반한 기법 중의 하나인 컨조인트(conjoint)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요한 속성을 선정하고 합리적인 속성별 수준들을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설문을 통해 자료를 확보한 이후에는 선택자료에 특화된 이산선택모형을 통해 자료의 효과적인 분석을 실시한다. 이는 계량경제학적인 이산선택모형을 통해 여러 가지 속성 및 개인특성변수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시장 시나리오 분석 등 여러 가지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함을 의미한다. 시나리오 분석 시에는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하여 합리적인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목차
I. 서 론
1. 연구 배경
2. 연구목적 및 대상
3. 연구 방법론 및 추진 체계
4. 보고서 체제
II. 수소연료전지자동차 관련 현황
1. 수소에너지 시스템 현황
2. 국내외 자동차 관련 현황
III. 선행 연구
1. 수소경제의 도래에 대비한 수소공급의 시스템적 접근
2. 한국 소비자들의 대체연료 자동차에 대한 선호 분석
3. 이동통신 전환비용의 추정과 시장구조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4. 본 연구의 차별성
IV. 분석 방법론 및 추정모형
1. 현시선호 및 진술선호
2. 진술선호 자료를 이용한 분석방법
3. 컨조인트 분석의 정의
4. 컨조인트 분석 과정
5. 추정모형
V. 컨조인트 설문
1. 예비조사
2. 본 설문 작성 및 기초 통계량 분석
3. 컨조인트 설문-1 구성
4. 컨조인트 설문-2 구성
VI. 추정 결과 및 분석
1. 컨조인트 설문-1 추정결과
2. 컨조인트 설문-2 추정결과
3. 교차항 추정결과
4. 소비자 선택 시뮬레이션
VII. 결론 및 연구의 한계
1. 결 론
2. 정책적 시사점
3. 향후 연구 과제
참고 문헌
<부록 1> 컨조인트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