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0-07
에너지소비효율등급 표시제도 운영 및 사후관리 개선방안 연구
- 연구책임자
- 임기추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ⅳⅱⅴ 105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0-07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3-105)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54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54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54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54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에너지소비효율 등급표시제는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고 보급률이 높은 제품에 대해, 에너지소비효율 등급표시를 의무화하여 소비자 선택을 통한 에너지절약형 제품 생산 및 판매를 유도하는 목적으로 1992년에 도입되었다.
에너지효율등급제에 대한 사후관리와 관련 2009년에 총 19개 품목 179개 모델에 대한 사후관리를 실시하여 169개 모델이 합격하였으며 냉장고, 청소기, 선풍기 등 5개 품목 10개 모델이 불합격되었다. 이 결과 정부는 2010년 등급표시를 위반한 9개 업체에 대해 생산ㆍ판매금지, 등급표시정정, 표시사항정정 등의 시정명령을 실시하였다.
이와 관련 조치의무 등 위반업체 및 모델을 관보에 게재하고, 해당 제조ㆍ수입업체는 시정명령에 대한 조치결과를 1개월 이내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시정명령 미이행 시에는 위반내용에 따라 벌금?과태료 등의 벌칙에 처한다.
현재 등급표시제 대상모델이 총 20,011개인데 비해 사후관리 대상 모델은 170여개 모델에 불과하므로 사후관리 대상모델의 확대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2010년에는 총 22개 품목 172개 모델을 대상으로 사후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효율등급제의 사후관리를 중심으로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외사례를 감안한 개선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후관리 개선을 위한 사후관리 대상 적정모델규모를 산출하고, 사후관리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국내 에너지효율등급제 운영 및 사후관리 추진내용 5
1. 국내 에너지효율등급제의 주요내용 5
2. 국내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실적 7
3. 국내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점검내용 및 문제점 13
제3장 주요국의 에너지효율등급제 운영 및 사후관리 사례 21
1. 미국 에너지효율등급제 운영 및 사후관리 21
2. 일본 에너지절약성능 표시제 운영 및 점검관리 35
3. 유럽 에너지라벨링 표시제 운영 및 사후관리 46
4. 주요국의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사례 및 시사점 65
제4장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대상모델의 적정규모 산출 73
1.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대상모델의 의미 73
2.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대상모델수의 적정규모 산출 74
3.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대상의 적정규모 설정 시 조사 소요비용 및 측정가능여부 82
제5장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의 개선방안 87
1.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대상의 제품 선정 및 확보방식 개선 87
2.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대상모델의 점검방식 개선 89
3.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대상모델수의 확대 개선 91
4.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점검결과의 정보공개 확대 개선 93
제6장 요약 및 결론 95
참고문헌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