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0-05
주요국의 하절기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비교: 건물실내온도 규제사례 중심으로
- 연구책임자
- 박기현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62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0-05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539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54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5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54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는 총 에너지 수요의 97%를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빈국이다. 이에 따라 고유가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며, 궁극적으로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전체 대비 약 22.3%이지만, 삶의 질 향상 및 건축물 수 증가 등으로 향후 선진국 수준인 국가 전체의 약 40%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상업?공공의 건물 에너지 중 냉난방용 비중이 현재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냉난방 에너지소비 절감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 된다. 그리하여 에너지소비가 많은 여름철 국가전체의 에너지수급 안정을 꾀하고, 예상치 못한 에너지 공급차질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건물의 실내온도규제 제도의 실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하절기 에너지절약 시책으로 건물실내온도규제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물실내온도규제의 비용?편익을 분석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고, 해외 주요국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단기적으로 우리나라 하절기 에너지절약 시책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소비자의 편익과 선택권을 중시하는 인센티브에 기반을 둔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모델링 해본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수요 관리 2
3. 부하 관리 10
Ⅱ. 하절기 에너지절약 시책 21
1. 건물실내온도규제의 필요성 및 배경 21
2. 실내온도 규제내용 22
3. 규제의 비용?편익 분석 25
4. 온도규제의 문제점 27
Ⅲ. 해외 주요국의 실내온도규제 29
1. 주요국의 냉난방 온도 규제 29
2. 미국 30
3. 일본 32
4. 유럽 33
5. 프랑스의 실내온도 규제사례 집중분석 35
Ⅳ. 수요반응 프로그램 39
1. 수요반응(Demand Response)의 개요 39
2. 우리나라의 수요반응 프로그램 41
3. 미국의 수요반응 프로그램 41
4. 수요반응 모델링 43
가. 온열감(Thermal Comfort)을 고려한 수요반응 프로그램 43
나. 외부온도 예측 방법 48
Ⅴ. 결론 및 시사점 51
참고문헌 55
부 록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