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10-10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반응 및 태도 조사: 제주 실증단지를 대상으로
- 연구책임자
- 김현제
- 연구참여자
- 김광석
- 발행사항
-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iv iv iv 74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10-10
- 서지주기
- 참고문헌(p.39-43)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093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093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09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093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지능형 전력망은 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녹색성장의 핵심기술로서 함축할 수 있다. 정부는 소비자로 하여금 이러한 지능형 전력망의 사용촉진을 위해 제반 정책을 입안?수행중에 있다. 그러나 기술개발과 정책입안 과정에는 최종소비자의 의견수렴이 없이 Top-down 방식의 의사결정만이 반영되어 있다. 많은 특허 받은 기술들이 상용화되는데 20%가 되지 않고, 그것이 소비자가 받아들여 시장에서 성공하는 데는 0.2%가 안 된다는 사실을 고려하였을 때, 소비자의 반응, 소비자의 요구사항, 불편사항 및 개선사항 등에 귀 기울이지 않는 정책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능형 전력망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살펴본 본 연구의 중요성은 높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그리드의 실현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설정한 제주실증단지 내, 실제 사용자의 태도 및 반응을 확인함으로써,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보급을 위해 어떻게 정부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어떠한 요소들이 스마트그리드 사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소비자의 스마트그리드 기술수용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정책적 제언을 준다는 견지에서 본 연구의 공헌도가 높다고 하겠다.
목차
제Ⅰ장 서론
제Ⅱ장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 현황
1. 스마트그리드의 이해
2.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의 개요
3.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의 추진현황
제Ⅲ장 연구설계 및 데이터특성
1. 연구설계
2.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특성
제Ⅳ장 스마트그리드 사용만족도 분석
1. 연구대상자의 기초조사
2. 만족도조사
3. 스마트그리드의 사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제Ⅴ장 스마트그리드 기술수용모형
1. 기존 문헌 연구
2. 스마트그리드 기술수용모형
제Ⅵ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