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09-10

북한 CDM 사업 잠재력 분석 및 남북 협력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정우진
연구참여자
박지민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9
형태사항
185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09-10
서지주기
참고문헌(p.167-170)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19399대출가능-
자료실P41940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1939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1940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 본 연구를 통해 나온 여러 가지 결과들을 볼 때 북한에서 CDM 사업이 추진되려면 우선 북한이 신뢰도가 높은 CDM 투자 유인 정책을 외부에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북한에서 CDM 사업에 가장 문 제가 되는 것은 CDM 사업 자체보다도 투자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한편 북한으로서는 이러한 투자 유인 정책에 앞서 에너지 산업 발전과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큰 정책적 틀을 마련하고 중장기 로드맵하에서 CDM 사업의 역할과 효과들을 명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한으로서는 대북 CDM 사업이 CER을 얻는 수익 사업이기도 하지만, 남북한의 에너지 수급 체계의 동질성 구현, 북한의 에너지 공급력 증강 지원, 나아가 남북 경협을 위한 에너지 인프라의 저비용 구 축 등 다양한 외부 효과를 감안하여 단기의 수익보다는 중장기 대북 개발 지원 즉, 남북 상생의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북한의 반응이나 정보, 자료의 부재 속에 가상적 전제하에서 추진되어 연구 결과에는 많은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향후에는 남북이 공동으로 대북 CDM 사업 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북한의 기후변화 대응 동향  제1절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전망  제2절 정책 및 조치  제3절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조치  제4절 연구 및 교육  제5절 우선 추진 사업 제3장 북한 에너지 산업의 현황과 과제  제1절 북한 에너지 수급 현황  제2절 부문별 에너지 산업 현황 제4장 북한 에너지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전망  제1절 에너지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제2절 에너지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 제5장 북한 에너지부문의 CDM 잠재력 분석  제1절 전력부문  제2절 산업부문  제3절 가정 및 상업부문 제6장 북한의 CDM 사업환경 및 추진과제  제1절 개도국과 사업환경 비교 분석  제2절 북한 CDM 사업추진의 제도적 문제점  제3절 법제도 이외의 문제점 제7장 에너지 CDM 사업의 남북 협력방안  제1절 북한 에너지 CDM 사업 촉진을 위한 협력방안  제2절 대북 CDM 사업 투자 방안 제8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1> 제1차 북한 국가보고서 발간 참여자 <부록 2> CDM 사업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