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25

저소비 고효율 경제사회 구축을 위한 국가 에너지효율화 추진전략 연구: 제조업 에너지효율성 및 절약 잠재량 평가

연구책임자
이성인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vii v viii 165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25
서지주기
참고문헌 (p.150-154)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179대출가능-
자료실P42218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17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18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에너지자원의 유한성에 따른 에너지자원 위기와 기후변화로 대변되는 환경위기라는 중대한 두 가지 도전에 직면하며 세계 각국은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대비 30%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를 2012년부터 본격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의 제조업 중심 국가로 에너지소비의 50% 이상을 제조업에서 소비하고 있고, 에너지의 96.4%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에너지가격 변동에 취약하다.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의 에너지효율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 제조업이 기간산업으로 경쟁력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비용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에너지효율 저감수단을 발굴, 시행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제조업의 에너지효율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분석과 더불어 주요 경쟁 국가와 비교 분석을 통해 상대적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토대로 정책방향, 중점 정책분야 및 세부 정책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의 에너지소비 특징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제조업 및 업종별 에너지효율성에 대해 비교분석과 측정을 통해 에너지절약 가능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제조업의 에너지효율화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 에너지 소비 및 구조 특징 분석 1. 경제규모 및 제조업 국제 비교 2. 에너지소비 국제 비교 3. 1인당 에너지소비 국제 비교 4. 에너지 소비구조와 특징 5. 제조업 에너지 소비구조와 특징 제3장 에너지원단위 국제비교 및 격차요인 분석 1.총에너지 및 최종에너지 원단위 비교분석 2. 제조업 업종별 에너지원단위 비교분석 3. 주요 선진국과 에너지 원단위 격차 요인 분석 제4장 주요국 제조업 에너지원단위 변화 요인분해 1. 요인분해 필요성, 방법론 및 자료 2. 에너지 원단위 변화 요인분해 결과 제5장 DEA 모형 이용한 에너지효율 및 기술적 절약잠재량 측정 1. DEA 모형 이론 및 분석모형 2. 분석대상, 산출 및 투입요소 3. 분석결과 제6장 제조업 에너지효율화 추진방안 1. 주요국 에너지효율 향상 지원제도 분석 2. 에너지효율 향상의 중요성 및 추진방향 3. 제조업 에너지효율화 추진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DEA 모형이용 제조업 및 업종별 에너지효율성 측정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