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15

에너지안보 제고를 위한 APEC 국가와의 공조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류지철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형태사항
viivvii216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1-15
서지주기
참고문헌 (p.209-216)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305대출가능-
자료실P42130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30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3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우리나라는 중동지역을 제외하고 에너지공급의 50% 이상을 아시아ㆍ태평양지역(APEC) 역내 국가들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석유와 천연가스의 경우, 중동의존도가 각각 80%와 40%를 상회하고 있지만, 유연탄, 원자력발전의 에너지원인 우라늄은 전량 APEC 역내 국가로부터 수입하여 조달하고 있다. 또한, 향후 우리나라의 늘어나는 에너지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새로운 에너지공급원은 APEC 역내로부터 확보하여야 할 입장이다. 따라서 APEC 지역 국가와의 에너지협력은 우리나라에 매우 중요한 에너지안보 정책과제 중의 하나이다. APEC 지역 내에는 역내 에너지안보에 역행하는 다양한 에너지협력의 딜레마(Dilemma)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APEC 지역의 에너지안보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에너지의 블랙홀(Black-hole)이라고 일컫는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 소비 및 수입의 급성장세, 2011년 3월 발생한 일본의 대지진 및 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의 원자력발전에 대한 반대여론 확산,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 에너지 기업의 악화된 재무구조로 인한 자원개발 투자의 지연 등이 에너지안보의 위기 요인이라고 진단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안보 상황변화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을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러시아는 2012년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에서 개최 예정인 APEC 정상회의에서도 에너지안보를 주요 의제로 부각시킬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PEC 지역 에너지안보를 위한 정상회의에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에너지부문의 의제도 도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우리나라의 에너지안보와 APEC 지역 1. 에너지안보와 APEC 지역과의 에너지 교역 2. APEC 지역과의 에너지협력 현황 3. 우리나라의 APEC 지역 국가와의 에너지협력 잠재력 평가 제3장 APEC 지역의 에너지 수급 및 교역구조 1. 에너지 수급 현황 2. 역내 에너지 교역구조 3. APEC 역내 석유?가스 수송 인프라 제4장 APEC 지역 에너지안보에 대한 이해 1. 에너지안보의 일반적 개념 2. APEC 지역 에너지안보 요인 3. APEC 지역 에너지안보의 주요국의 동향 제5장 APEC 역내 에너지안보 협력?공조 방안 1. APEC 역내 에너지안보 협력 기회 2. 2012 APEC 정상회담을 위한 러시아의 Initiative 3. 2012 APEC 정상회담 의제에 대한 제언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