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31

에너지자원 신시장 조사 연구: 중남미 국가 에너지자원 공급력 조사 연구

연구책임자
석우남
연구참여자
이수현, 강형구, 이창민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x xi v 127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31
서지주기
참고문헌 (p.123-127)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189대출가능-
자료실P42219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18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19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BP의 통계에 따르면 중남미 지역의 2011년 말 석유 매장량은 325.4 십억 배럴로 전 세계의 19.7%를, 생산량은 7,381 천 b/d로 전 세계의 9.5%를 기록하고 있다. 가스 매장량은 267.7tcf로 전 세계의 3.6%를, 생산량은 167.7bcf로 전 세계의 5.1%를 기록하고 있다. BP(2012)에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 지역으로 분류된다. 중남미 지역은 중동지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석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중남미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비전통 가스 부분을 고려한다면, 가스 부분에 있어서도 큰 잠재력을 지닌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구리, 금, 은, 등의 일반 광물 뿐 아니라, 리튬, 몰리브덴, 망간과 같은 희소 광물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한편 중남미 국가들은 정치적·사회적·경제적인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한국의 입장에서 지리적 한계로 인해 진출이 저조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정치적·사회적인 안정화와 적극적인 외국 투자 유치 노력 등은 진입장벽을 낮추고 투자를 유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중남미는 한국의 미래 해외 에너지·자원 시장 중 가장 매력적인 지역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원개발 후발주자로서 한국은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남미 지역 5개국(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칠레, 쿠바, 파나마)의 정치·경제 현황, 석유·가스·석탄·광물자원 현황 및 관련법규, 그리고 중남미 에너지 시장 진출 시 각 국가들의 진입 장벽 및 투자 유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대상 국가들에 진출한 기업들을 연구하였다.
목차
제1장 서언 제2장 중남미 지역의 자원민족주의 1. 자원민족주의의 분류와 시작 2. 칠레의 동광회사 국유화 3. 신자원민족주의의 대두 4. 집단적인 자원 무기화의 가능성 제3장 중남미 지역의 일반현황 및 에너지 현황 1. 일반현황 2. 에너지·자원 현황 및 전망(석유·가스·석탄·광물) 제4장 중남미 지역의 투자환경 분석 1. 에너지정책 및 법규 2. 진입장벽 및 투자 유발 요인 제5장 중남미 지역 에너지 시장 진출 기업 분석 1. 아르헨티나 2. 에콰도르 3. 칠레 4. 쿠바 5. 파나마 제6장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