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5-14

대학 캠퍼스 건물의 에너지 효율개선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박기현
연구참여자
박재완, 박진순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형태사항
iv v vii 112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5-14
서지주기
참고문헌(p.109-112)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3869대출가능-
자료실P42387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386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387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하는 우리나라의 최우선 에너지정책은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이다. 하지만 최근 원전의 국민적 수용성 악화,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한계, 그리고 신기후체제 아래 온실가스 감축 압력의 증대 등 대내외적인 여건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의 안정적인 에너지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활한 에너지수급 및 국가에너지 안보강화를 위해서는 에너지수요관리를 통한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효율향상은 필수적이다. 건물부문의 경우 에너지효율개선정책은 크게 신축 건물과 기존 건물로 구분하나 투자대비 에너지절감 여력이 많은 기존 건물에 중점을 둔다. 기존 건물의 경우 노후 건축물에 대한 성능강화를 목표로 단열 강화, 창호 교체, 고효율기기 확대 등을 통하여 건물에너지성능을 높인다. 하지만 여러 정부 부처 및 각 시·도에서 건물에너지 절감 및 효율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추진하고 있으나 최근 한계점에 봉착했다는 의견이 분분하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건물에너지 수요를 관리해야하나 효과적인 국가정책이 부재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건물부문에 있어서 에너지 다소비 기관 중에 하나인 대학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에너지총조사(2014)의 대형건물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내 대학의 에너지 사용량은 2000년 약 13만 TOE에서 2013년 약 33만 TOE로 크게 증가하였다. 2013년 기준 대학의 에너지 사용량은 32.9만 TOE로 건물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13.9%를 차지하였다. 에너지총조사(2014)의 대형건물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건물의 업체당 에너지소비량이 3,045 TOE로 대형건물 업체당 평균 에너지소비량인 2,540 TOE를 크게 상회하였다. 이는 호텔, 병원과 더불어 가장 높은 에너지 소비량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에너지 다소비기관 중의 하나인 대학의 건물에너지 소비 현황을 살펴보고 대학 건물의 에너지효율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와 차별을 두어 특정 대학의 건물에너지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한 캠퍼스 내 건물용도별 에너지효율화 방안을 제안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국내외 캠퍼스의 건물에너지 절감 사례 3 제1절 국내 사례 3 1. 대학교 건물에너지 절감 활동 사례 3 2.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6 3. 그린캠퍼스 사업의 한계점 11 제2절 해외 사례 13 1. 대학별 사례 13 2. 캠퍼스 요소기술패키지 사례 18 제3절 시사점 23 제3장 국내 대학 현황 및 에너지 소비실태 분석 25 제1절 일반 현황 25 제2절 대학건물의 에너지소비구조 분석 27 1. 대형건물에서 대학건물의 위상 27 2. 대학건물의 지리적 특성 32 3. 에너지원단위 분석 36 4. 건물부문의 에너지절약 잠재량 평가 39 제4장 대학 캠퍼스 건물에너지 성능 평가 45 제1절 모델링 분석을 위한 학교 선정 45 1. 분석대상학교의 일반 현황 45 2. 분석대상학교의 에너지 소비현황 50 제2절 분석 모형 설정 55 1. 모형 개요 55 2. 타당성 분석 및 성분별 에너지 사용량 66 제3절 에너지 성능 평가 73 1. 분석대상학교의 에너지 성능 평가 74 2. 태양열 시스템 적용성 분석 83 3. 태양광 발전시스템 85 4. 적용기술별 최종에너지 분석 86 제5장 대학 건물 Retrofit 방안 93 제1절 경제성 분석 93 1. 분석대상학교의 에너지 비용 분석 93 2. 적용 기술 요소에 대한 비용 분석 95 3. 투자비 대비 경제성 분석 97 제2절 대학 캠퍼스 건물 효율개선 방안 101 1. 추진 방향 101 2. 실행로드맵 102 3. 역할 분담 103 제6장 결 론 107 참고문헌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