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374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374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374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374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15년 상반기에 있었던 아시아 인프라 투자은행 (Asia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가입 논란은 국제기구 회원국 지위가 주는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하는 사례였다. 중국과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가입 여부를 저울질하던 한국은 주요 서구 국가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의 AIIB 가입 선언에 뒤이어 서둘러 가입을 추진함으로써 창립회원국의 지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국제기구 회원국 지위가 단순한 상징적인 의미를 넘어서서 한 국가에게 실질적이고도 커다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에너지 협력 강화와 실질적인 에너지 협상력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국제 에너지 기구의 회원국 지위 (멤버십)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의 국제 에너지 기구 내에서 동일하게 멤버십을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했다. 언뜻 보면 추상적으로 여겨질 수 있는 이 연결은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서 실질적인 국가 네트워크로 이어지고, 이러한 국가 네트워크는 다시 에너지 거래와 협력에서의 선택 가능한 대상 국가 네트워크로 확장됨으로써 에너지 협력 강화와 에너지 협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에너지 기구 내에서 함께 회원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관련된 회의에 참여하는 인력들이 연결됨으로써 인적 네트워크가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적 네트워크들이 결합됨으로써 국가 간 네트워크가 추상적인 것이 아닌 실질적인 연결로 기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국가 네트워크는 에너지 거래와 에너지 협력에 있어서 기반이 된다. 특히 에너지 업계의 특성상 민간과 정부의 구분이 모호하거나 중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부 측 인력 간 네트워크가 기업간 인적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우도 많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더 많은 파트너들과 연결되어 향후 교류 확대를 위한 기반을 갖추는 것이, 해당 국가의 에너지 거래에서의 협상력을 높이고 다른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에 직간접적 도움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제 에너지 기구 멤버십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한국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국제 에너지 협력과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에너지 거래 협상력 제고와 에너지 협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제 에너지 기구를 통한 네트워크
1. 국제 에너지 기구를 통해 형성된 국가 간 네트워크
2. 에너지 관련 기타 국제기구 멤버십이 포함된 네트워크
제3장 주요 수입국들의 네트워크
1. 일본이 수출국과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2. 중국이 수출국과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3. 독일이 수출국과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4. 이탈리아가 수출국과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5. 한국이 수출국과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 한국의 국제 에너지 기구를 통한 네트워크
2. 에너지 협상력 제고와 에너지 협력 강화를 위한 시사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