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1-02-2211-06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 설정 연구

연구책임자
김현제
연구참여자
박찬국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형태사항
vvvi127p
서지주기
참고문헌 (p.101-102)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1287대출가능-
자료실P42128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128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128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세계는 녹색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고, 시장 규모도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전력분야 시장조사기관인 SBI는 2009년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시장이 693억 달러에서 2014년 1,714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성장률이 약 16%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한전 KDN은 스마트그리드 시장규모가 2010년 1,340억 달러에서 2030년 8,7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주요국은 기술력 확보를 통한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스마트그리드 시장 선점을 위해 스마트그리드 실증 및 시범사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하고 해외시장 진출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사업을 추진 중이다.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는 스마트그리드 실증 및 시범사업은 그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관련 사업을 발전시켜 나가는 노력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합리적인 성과평가의 기준이 정립되어야 한다. 미국, 유럽, 캐나다 등 세계 스마트그리드 실증 및 시범사업을 선도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주도 실증사업의 중간평가를 위한 성과 평가기준이 마련되었으나, 거점지구 형태로 진행될 시범사업에 대해서는 아직 별다른 평가기준 연구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현실에 맞는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시범사업 형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평가기준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연구 범위 및 분석틀 1. 연구범위 2. 연구 분석틀 및 방법론 제3장 해외 스마트그리드 실증 및 시범사업 추진 동향 1. 미국 2. 영국 3. 스페인 4. 일본 5. 대만 6. 시사점 제4장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의 성공요소 1. 스마트그리드 산업 환경 2. 시범사업의 구상 3. 시범사업의 실행 4. 시범사업 교훈의 확산 제5장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 1. 국내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의 목적 2.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 연구 현황 3.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 초안 제6장 평가기준 타당성 분석 1. 조사개요 2. 조사결과 제7장 평가기준별 가중치 분석 1. 조사개요 2. 조사결과 제8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