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2-34

국가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시스템 구축: 정책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책임자
박기현
발행사항
의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vii ii vi 159 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2-34
서지주기
참고문헌 (p.111-112)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2195대출가능-
자료실P42219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219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219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해외 주요국들은 에너지절약과 효율향상과 같은 에너지수요관리를 기후변화 및 고유가 대응 그리고 에너지안보강화를 위한 핵심 에너지전략으로 설정하고 각종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에너지효율을 BAU(Business As Usual) 대비 약 46%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에너지절약 및 효율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정책의 개발 및 추진과 비교하여 관련 정책에 대한 측정 및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포트폴리오의 개발과 추진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측정 및 평가 작업이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못함으로 인해 에너지절약 및 효율정책에 대한 정보의 수집과 통계 확보가 되지 않았다. 그 동안 필요에 의해서 특정 에너지절약 정책수단에 대한 일회성 효과분석 및 평가가 일부 시도 되었지만, 국가 에너지절감 잠재량 분석을 목적으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효과분석 및 평가는 이루어진 적이 없다. 에너지통계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가공?활용하여 정부의 에너지계획 수립 지원 등 다양한 에너지통계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KESIS)이 구축되어 있으나, 이는 공급통계 기반으로 만들어져 에너지절약 및 효율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에너지수요관리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DB) 정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에너지의 원별, 부문별 기초 데이터들은 에너지관련 기관들에 산발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실제로 에너지절감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유무 파악도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집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에너지 고효율 절감시스템 구축과 효과적인 정책포트폴리오의 개발을 위해서는 동 부문의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에너지절감 효과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상업 부문의 에너지절약 및 효율향상 정책과 효율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한 DB 구축 범위를 설정하고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DB 구축 1. 해외 DB 구축 사례 2. 국내 DB 구축 현황 제3장 가정·상업부문 정책 분석을 위한 DB 구축 범위 1. 기기부문 효과 분석을 위한 DB 범위 2. 건물부문 효과 분석을 위한 DB 범위 제4장 건물부문 EERS정책 효과 분석을 위한 DB 구축 1. EERS 정책의 평가방법 2. EERS 정책의 개요 및 대상기술 3. 정책분석을 위한 DB 구축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