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1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ng-Term LCOE Forecast System for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1/5)
재생에너지 공급확대를 위한 중장기 발전단가(LCOE) 전망 시스템 구축 및 운영(1/5)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iii viii 132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21
- 대등표제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ng-Term LCOE Forecast System for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1/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29-132)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29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29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29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29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017년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발표(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 달성)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정책을 추진 중에 있음.
-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관련하여 재생에너지 지원 성격의 보조금 증가에 따른 전기요금 상승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있을 수 있음.
- 하지만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에 대한 신뢰성 있고 연속성 있는 정보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재생에너지의 경제성과 보급 확대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의 어려움이 존재함.
- 따라서, 재생에너지 중장기 발전단가(LCOE) 전망을 위해 비용 결정요인에 대한 신뢰성 있는 조사와 합리적인 방법론에 기반한 분석체계 구축 필요
- 본 연구는 현재 정부 정책에 기반하여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지상 태양광 발전과 육상풍력 발전을 대상으로 이들의 발전단가(LCOE)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관련 정책수립에 기여하고자 함.
□ 결론 및 정책제언
- 에너지 R&D 투자 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방향 제시
- 본 연구에서 수행한 원가조사용역과 선행연구 비교 시 설비비용 의 하락 발견
-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단가는 하락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신재생에너지 비용하락에 따르는 긍정적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 기술혁신과 비용하락 등의 신재생 환경변화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 필요
- 본 연구는 전체 연구기간(5년)중 1년차 연구로서 향후 2~5년차 연구에서 추진해야 할 역무 범위 존재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균등화발전단가(LCOE) 개념 및 범위
제2장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론
1. 선행연구
2. 연구방법론
제3장 재생에너지(태양광, 육상풍력) 비용조사
1. 태양광 발전설비 원가 조사
2. 육상풍력 발전설비 원가 조사
3. 태양광 및 육상풍력 간접비 조사
4. 비용조사 결과 종합 및 분석
제4장 재생에너지(태양광, 육상풍력) LCOE 추정 및 전망
1. 태양광 규모별 LCOE 추정
2. 육상풍력 LCOE 추정
3. 태양광 및 육상풍력 LCOE 전망
제5장 연구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