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02Study on stochastic peak load forecast using extreme value theory

극치 이론을 활용한 최대전력 수요의 확률 분석

연구책임자
김철현
발행사항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형태사항
v ii v 87p
총서사항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02
서지주기
참고문헌(p.85-87)수록
키워드
전력수요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P425578대출가능-
자료실P42557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P4255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P42557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최근 몇 년간 유례없는 여름철 폭염 등으로 최대전력 수요의 변동 폭이 커지고 있다. 최대전력 수요는 전력량과는 달리 이상성 또는 예외성을 내포한다는 특징이 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전망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적정 설비예비율을 정한다. 하지만 전망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의 크기이며, 그것이 과거의 평균적인 예측오차만을 고려하여 계산된 것인지, 아니면 수십 년 만에 한번 발생하는 특수 상황도 고려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 최대전력 수요 전망은 전통적인 통계 및 계량경제학 방법론을 이용한다. 전통적인 방법론은 본질적으로 과거 실적의 평균적인 행태에 기초한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전력 수요의 평균적인 행태보다는 이상성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수십 년에 한번 발생하는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론에서의 전망이 얼마나 오차가 생길지, 또는 주어진 오차수준이 발생할 확률은 얼마일지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전망 분야에서는 활용된 바가 없는 극치 모형을 고려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2. 연구 목표  3. 연구의 차별성 및 기대효과  4. 연구의 구성 제2장 기존 연구 및 모형 설명  1. 최대전력 수요 전망 모형 1.1. 국내외 최대전력 수요 전망 1.2.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의 최대전력 수요 전망  2. 기존 최대전력 전망 모형의 한계  3. 극치 이론 3.1. 블록 최댓값 모형(Block maxima model) 3.2. POT(Peak Over Threshold) 모형 3.3. 비정상(non-stationarity) 모형 제3장 최대전력 수요 패턴 및 요인 분해  1. 국내 최대전력 수요 패턴  2. 최대전력 수요의 요인 분해 2.1. STL 요인 분해 2.2. 이상수요 제4장 이상수요의 확률 분석  1. 정상성 가정 하 극치 모형 추정 1.1. 블록 최댓값 모형 추정 결과 1.2. POT 모형 추정 결과  2. 비정상성 가정 하 블록 최댓값 모형 추정 2.1. 이상수요의 설명변수(계절기온지수) 설정 2.2. 계절기온지수를 포함한 블록 최댓값 모형 추정 결과 3. 소결 제5장 결 론  1. 연구개요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3. 정책 활용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