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4Research 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Energy Finance Projects
에너지 재정사업 성과지표 연구
- 연구참여자
- 이성재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viii v 88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21-04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5-88)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844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84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84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84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나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재정사업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도 퇴출되지 않고 지속되는 것이 일반적임
- 정부가 재정사업에 대해 성과관리 제도를 도입하여 운용하는 것은 재정사업의 효율성과 효과를 제고하기 위함임
- 현재 국내에서 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성과관리 제도에서 성과지표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 재정사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성과지표 및 운용에서 나타난 문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에너지 재정사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현재 에너지 재정사업을 평가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평가지표의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재정사업 성과관리 제도와 성과지표
- 에너지 재정사업 현황
- 에너지 재정사업 성과지표 문제점
- 성과지표 개선 방안
3. 결론 및 정책제언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과지표 전반에 걸쳐 적절성 검토
- 신규 사업의 경우 사업 설계단계에서부터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함께 개발
- 성과지표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지속 개선
- 성과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발하는 전담조직 신설 및 운용을 검토
- 전담조직은 성과지표의 개발 및 관리뿐만 아니라 에너지 재정사업의 평가와 환류를 통한 사업 개선도 함께 수행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재정사업 성과관리
1. 재정성과 관리제도
1.1. 성과계획서 및 성과보고서
1.2. 재정사업 자율평가
1.3. 재정사업 심층평가제도
1.4. 핵심사업 평가제도
2. 재정사업 성과관리와 성과지표
제3장 에너지 재정사업과 성과지표
1. 재정사업 성과지표
1.1. 성과지표 개요
1.2. 재정사업 성과지표의 작성
2. 에너지 재정사업과 성과지표 현황
2.1. 에너지 재정사업 현황
2.2. 에너지 재정사업 성과지표
제4장 성과지표 문제점과 개선방향
1. 성과지표의 문제점
1.1. 성과지표의 단순성
1.2. 사업 내용 및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성과지표
1.3. 대표성이 부족한 성과지표의 문제
1.4. 연구개발 사업 성과지표의 문제
1.5. 기타문제
2. 개선방향
2.1. 성과지표의 개선방향
2.2. 기타 개선방향
제5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