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8Evaluation of New Energy Industry Policy and Its Implications to Energy Transition
에너지전환 시대의 신산업 추진 현황 및 정책 방향 연구
- 연구참여자
- 김아름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i vI 141p
- 총서사항
- KEEI 수시연구보고서 20-0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23-141)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17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17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1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17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2020년 7월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골자로 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발표 이후 에너지신산업의 중요성 재부상
○ 그러나 에너지신산업 정책의 성과에 대한 지속적 평가 및 이에 근거한 개선방향 논의는 미흡한 편임.
○ 이에 에너지 정책 관점에서 에너지신산업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최근 이슈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함.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신산업의 개념과 범위를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정책 관점에서 에너지신산업 정책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음.
○ 본 연구는 에너지신산업 정책의 추진성과 및 최근 국내·외 핵심 이슈를 분석해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
첫째,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함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안정적 계통 구축이 병행되어야 함.
둘째, 인프라 구축과 활용 방안이 연계되어야 함.
셋째, 지속적 정책 추진을 위해 자원배분 왜곡이 해소되어야 함.
넷째, 그린 경제로의 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공기업 위주의 에너지 산업구조가 변화되어야 함.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내용
제2장 에너지신산업 정책 개요
1. 에너지신산업 정의 및 개념
2. 에너지신산업 범위
2.1. 정부 계획
2.2. 선행연구
2.3. 본 연구
3. 정책 추진체계
4. 주요 정책과제
4.1. 재생에너지
4.2. 분산형자원 거래
4.3.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구축
5. 소결 및 시사점
제3장 대표 정책과제의 성과 분석
1. 주택용 태양광 보급
1.1. 추진실적
1.1.1. 주택지원사업
1.1.2. 태양광 대여사업
1.1.3. 상계제도
1.2. 정량적 성과
1.3. 정성적 성과
2. 분산형자원 거래기반 조성
2.1. 추진실적
2.1.1. 수요자원거래시장
2.1.2. 프로슈머거래시장
2.1.3. 소규모전력중개시장
2.2. 정량적 성과
2.2.1. 수요자원거래시장
2.2.2. 소규모전력중개시장
2.3. 정성적 성과
2.3.1. 수요자원거래시장
2.3.2. 프로슈머거래시장
2.3.3. 소규모전력중개시장
3. ESS 보급
3.1. 추진실적
3.1.1. ESS 운영편익 향상
3.1.2. ESS 초기 투자비 경감
3.1.3. ESS 활용범위 확대
3.2. 정량적 성과
3.3. 정성적 성과
4.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국내·외 핵심 이슈
1. 태양광 확산 및 변동성 대응
1.1. 태양광 확산
1.2. 변동성 문제 대두
2. 배전계통운영자(DSO) 역할 변화
2.1. 분산형자원 확대
2.2. DSO 역할 변화
3. ESS 보급
3.1. ESS 보급 추세
3.2. 정책 동향
4. 소결 및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그린 뉴딜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