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0-05Research on Discount Rate and Payback Periods of Residential Energy Efficiency Investment
가정부문 에너지효율기기 투자 할인율과 회수기간 추정에 대한 연구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vi vi 115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0-0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9-9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652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652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652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65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연구의 필요성
○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에너지효율 혁신을 통한 고효율 에너지사회로의 전환이 필요
○ 에너지 소비자의 적극적인 에너지효율 투자 참여와 민간의 에너지효율 투자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인 이론 및 기준 정립이 최우선적으로 필요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가정용 에너지소비자의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 추정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을 찾아내 후속 연구와 정책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1.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 추정 방법론
○ 기존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컨조인트 설문과 다중가격리스트(Multiple Price List, MPL)의 방법론적 한계를 보완하고 추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주요 방법론으로 선택
□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의 결정 요인 분석
○ 위험 성향이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가격리스트를 활용, 피험자의 위험 성향을 파악하여 독립변수로 설정
○ 인지력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인지성찰검사(Cognitive Reflection Test, CRT)를 대리변수로 활용
○ 인구통계학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혼인 여부, 가구 인원, 최종학력, 주거형태, 소득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
○ 에너지 소비행태 및 인식 관련 가전제품 구입 시 소비효율 등급을 확인하는 피험자는 내재적 할인율이 낮고 수용가능한 회수기간이 길게 나타남
○ 주택에너지 효율개선 항목 중에서는 창호 교체 경험이 없는 피험자는 내재적 할인율이 높고 회수기간이 짧게 나타나, 에너지효율개선의 경험은 내재적 할인율을 낮추며 수용 가능한 회수기간을 늘리는 것으로 분석됨
□ 실험설계 및 분석결과
○ 내재적 할인율 추정 방법론(CVM, MPL) 간 결과 비교·분석
○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 비교 분석
○ 일반 투자와 에너지 고효율 투자의 위험 선호 비교분석
○ 일반 투자와 에너지고효율 투자의 할인율 비교분석
2. 학술적 기여 및 향후과제
□ 정책 개선을 위한 학술적 기여
○ 에너지효율 프로그램의 비용편익 평가 시 사회적 할인율과 내재적 할인율 간 구분 필요
○ 소비자 맞춤형 지원금 및 정책대상 설정 등 다양한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마련
○ 에너지효율 정책의 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 개입방향 설정
□ 에너지 분야 실험·행동경제학 적용을 위한 학술적 기여
○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 추정
○ 행동경제학의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설명변수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효율 투자에 나타난 소비자의 제한된 합리성과 해결방안 제시
□ 향후 과제
○ 에너지효율 투자의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기기별, 부문별 확대를 위한 후속 연구 필요
○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제도 개선을 위한 후속 연구와 정책 개발이 필요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대상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에너지효율투자 의사결정과 선행연구
1. 에너지효율투자에 대한 의사결정
2. 에너지효율투자 판단 기준
2.1. 내재적 할인율
2.2. 회수기간(Payback Periods)
2.3. 소결
3.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 추정 방법론
3.1. 내재적 할인율 추정
3.1.1. 다중가격리스트(Multiple Price List, MPL)
3.1.2. 조건부가치측정법(CVM)
3.2. 회수기간 추정
4. 소결
제3장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 추정 실험
1. 실험개요
2. 실험설계
3.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설명변수 생성
3.1. 위험도
3.2. 인지력
3.3. 에너지 소비행태 및 인식
3.4. 인구사회학적 특성
3.5. 가전기기 이용현황 및 에너지효율 투자경험
4. 실험설계의 한계
제4장 실험 및 분석결과
1. 실험자료
2. 분석모형
2.1. 조건부가치측정법 분석모형
2.2. 다중가격리스트 분석모형
3. 분석결과
3.1. 내재적 할인율과 회수기간 (조건부 가치측정법)
3.1.1. 내재적 할인율
3.1.2. 회수기간 (조건부 가치측정법)
3.2. 내재적 할인율 및 위험도(다중가격리스트)
3.2.1. 위험회피도의 측정
3.2.2. 내재적 할인율 추정을 위한 회귀분석
3.3. 소결
제5장 결론 및 학술적 기여
1. 요약 및 결론
2. 정책개선을 위한 학술적 기여
2.1. 비용편익 평가 개선관련
2.2. 소비자 맞춤형 지원금 설정 및 정책대상 설정
2.3. 에너지효율정책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정책적 개입방향
3. 에너지 분야 실험, 행동경제학 적용을 위한 학술적 기여
3.1. 실험경제학
3.2. 행동경제학
4.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미리보기

가정부문 에너지효율기기 투자 할인율과 회수기간 추정에 대한 연구.pdf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