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1-24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ng-Term LCOE Forecast System for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2/5)2024년 BEST 30
재생에너지 공급확대를 위한 중장기 발전단가(LCOE) 전망 시스템 구축 및 운영(2/5)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xiv 92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1-24
- 대등표제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ng-Term LCOE Forecast System for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2/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83-8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08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08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08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08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최근 정부는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5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발표,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5.8%(재생 22.2%, 신 3.6%) 달성 목표 제시
○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저감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 마련 필요
○ 재생에너지 중장기 발전단가(LCOE) 전망을 위해, 비용 결정요인에 대한 신뢰성 있는 조사와 합리적인 방법론에 기반한 분석체계 구축 필요
■ 연구의 목적
○ 재생에너지원별/유형별 발전비용 조사 시스템 구축을 통한 발전단가(LCOE) 분석 및 전망
○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추세 및 주요국과의 발전단가(LCOE) 비교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개선방안 제시
○ 본 연구는 2020년부터 5년간 수행해야하는 일반연구과제로 전반적인 연구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음.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발전단가(LCOE) 분석
○ 태양광, 육상풍력 발전 설비비용 자료와 경제적 전제조건을 반영하여 추정한 2021년 발전단가(LCOE)는 2020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됨.
○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는 폴리실리콘과 철강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에 따른 기술개발 및 시장 경쟁으로 인한 설비비용이 감소와 저금리 기조를 반영한 낮은 할인율에 의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됨.
○ 건물, 영농형, 수상태양광 등의 특수태양광의 발전단가(LCOE)는 지상태양광 대비 소폭 높은 수준으로 분석됨.
○ 본 연구에서 조사된 우리나라 20MW급 태양광 설비비용은 1,154천원/kW 수준이며, 이는 해외 주요국의 유틸리티급 태양광 평균 설비비용(1,045천원/kW) 대비 약 10% 높은 수준으로 확인됨.
■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시나리오 분석
○ 발전단가(LCOE)는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게 되며, 대표적으로는 설비비용(CAPEX), 이용률, 할인율, 경제수명 등이 있음.
○ 각각의 전제조건이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에 미치는 영향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시나리오 분석을 시행하였음.
○ 기술적 경제수명(25년)을 고려한 시나리오(S1)의 경우 약 7%의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각 변수에 동일한 10% 변화를 가정한 시나리오 분석 결과 발전단가(LCOE)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이용률, 설비비용(CAPEX), 할인율 순으로 나타남.
■ 지역별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분석
○ 격자-LCOE 연산 모형을 활용한 지역별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추정 결과 태양광의 경우 전라도와 경상북도, 풍력의 경우 제주도 지역의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 육상풍력 발전을 위한 입지는 태양광과는 다르게 규제정책에 의해 배제되는 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좁은 국토에도 불구하고 지역별 발전단가(LCOE)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규제적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됨.
3. 결론 및 정책제언
○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를 분석한 결과 작년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용효율적 보급을 위한 정부의 다각적 노력이 요구됨.
○ 지역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규제지역 검토를 통해 단계적으로 완화해가는 노력이 필요함.
○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는 해외 주요국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비용 저감을 위한 지원 정책 필요
○ 발전사업자간의 적절한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공급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는 경매제도 도입 검토 필요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해외 재생에너지 가격 및 제도 현황
1. 해외 태양광 LCOE 현황
2. 해외 육상풍력 LCOE 현황
3. 해외 재생에너지 제도 현황
제3장 균등화발전단가(LCOE) 개념 및 연구방법론
1. LCOE 개념 및 범위
2. 연구방법론
제4장 재생에너지(태양광, 육상풍력) 발전사업 비용 조사
1. 태양광 발전설비 비용 조사
2. 육상풍력 발전설비 비용 조사
3. 재생에너지(태양광, 육상풍력) 운영 및 유지비용 조사
4. 재생에너지(태양광, 육상풍력) 토지비용 조사
제5장 재생에너지(태양광, 육상풍력) 발전단가(LCOE) 분석
1.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LCOE 추정 결과 및 비교
2.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LCOE 시나리오 분석
3. 지역별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LCOE 추정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미리보기

재생에너지 공급확대를 위한 중장기 발전단가(LCOE) 전망 시스템 구축 및 운영(2/5).pdf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