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6Study o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Natural gas industry
세계 천연가스 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한 천연가스 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v vi viii 161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19-2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53-16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5628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562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562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562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3개년(2017~2019년)에 걸쳐 수행한 '세계 천연가스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한 천연가스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의 3차 연도 연구이다. 1차 연도에는 국내 천연가스의 용도별 소비 현황 및 추세변화와 부문별 변화 요인을 검토하여 수요 결정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2차 연도에는 천연가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국의 정책 및 신사업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번 3차 연도 연구에서는 에너지전환 기조 하에서 천연가스의 중장기적 역할을 고려한 천연가스산업 가치사슬 상의 부문별 경쟁력 강화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미와 호주를 중심으로 비전통가스 생산이 본격화하면서 세계 LNG 거래가격은 하향 안정화되고 공급자 주도의 시장에서 구매자 주도의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다. 천연가스는 화석연료 중 가장 친환경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타 화석연료보다 선호되는 에너지원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 우리나라는 탈원전 및 석탄발전 감축 정책이 추진되면서 천연가스의 중장기 전략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파리기후협정의 체결로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확대 강화된 이후, EU 선진국을 중심으로 천연가스 역시 탄소 배출원이므로 퇴출시켜야 할 에너지원으로 보는 시각도 있어 중장기적인 천연가스의 역할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3차 연도 연구에서는 ① 비전통가스 기반 LNG의 공급 증대로 촉발된 LNG 수급과 가격수준 및 거래조건 변화 추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최근 세계 천연가스시장의 구조변화를 파악하고, ② 주요 국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천연가스의 역할을 정립하며, ③ 국내 천연가스 공급의 안정화와 천연가스산업의 효율화방안 마련을 위해 가치사슬상의 부문별 주요 현안 이슈를 발굴하고, ④ 천연가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현안 이슈별 정책대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2.1. 가스산업의 경쟁력 강화 관련 연구
2.2. 타 에너지산업의 경쟁력 강화 관련 연구
2.3. 에너지 플랜트산업의 경쟁력 강화 관련 연구
2.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 내용
4. 연구 범위와 방법
제2장 세계 천연가스 시장 구조변화
1. 세계 LNG 수급 동향
1.1. 세계 LNG 시장 개요
1.2. 세계 LNG 공급 현황
1.3. 세계 LNG 수요 현황
2. 세계 LNG 가격 동향 및 전망
3. 세계 LNG 거래 및 계약조건 변화
3.1. 지역별 수출입 비중의 변화
3.2. LNG 거래 및 계약 조건의 변화
4. 세계 LNG 수급 전망
4.1. 세계 LNG 수요 전망
4.2. 세계 LNG 공급 전망
4.3. 세계 LNG 수급 전망 종합
5. 향후 전망(에너지전환 시대의 천연가스 역할)
5.1. 유럽 및 OECD 선진국
5.2. 동아시아 및 개도국
6. 소결
제3장 국내 천연가스 수급 및 정책 동향
1. 국내 수요
1.1. 도시가스 수요
1.2. 발전용 수요
2. 국내 공급
3. 가격 추이
4. 국내 에너지전환 정책과 천연가스의 역할
4.1.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4.2. 제13차 장기천연가스수급계획
4.3.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4.4.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5. 소결
제4장 천연가스 공급부문 경쟁력 강화
1. 상류부문 진출
1.1. 국내 상류부문 진출 현황
1.2. 국내 해외자원개발 관련 정책 동향
1.3. 해외 자원개발 지원 제도 사례
1.4. 시사점
2. 도입계약 체결
2.1. LNG 도입계약 형태와 프로젝트 추진 방식
2.2. 국내 도입계약 유연화 노력
2.3. 해외 도입계약 유연화 노력 사례
2.4. 시사점
3. 공급인프라 및 유통부문
3.1. 도ᄋ소매 공급 체계
3.2. 천연가스 공급 인프라
3.3. 공급시설이용 해외 사례 검토
3.4. 시사점
제5장 천연가스 수요부문 경쟁력 강화
1. 효율 개선 사업
2. LNG 벙커링
3. 냉열사업
4. 연료전지
5. 시사점
제6장 천연가스 시장구조 유연화
1. 천연가스 시장구조 유연화의 필요성
1.1. 수요 불확실성 대응력 제고
1.2. 효율적 시장 기반 조성
2. 아시아 천연가스 시장구조 유연화 사례
2.1. 중국
2.2. 일본
3. 국내 천연가스 시장구조 유연화 노력
4. 시사점
제7장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시사점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