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3-22National assessment on sea_level rise impact of Korean coast in th socioeconomic context Ⅲ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Ⅲ

저자
조광우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형태사항
468 p. 도표 25 cm
총서사항
KEI 연구보고서 2013-22
서지주기
참고문헌(p.387-401)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290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290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내용 제2장 연안방어시설(어항) 영향평가 1. 어항 현황 및 피해 사례 가. 어항 현황 나. 어항 피해사례 다. 자료 라. 방법론 2. 어항 취약성 평가 제3장 연안배수시설 영향평가 1. 하천 현황 및 피해 이력 조사 가. 하천 유형별 분류 나. 하천 침수피해 현황 2. 영향평가 방법론 가. 검토대상지 선정 나. 대상하천 자료조사 다. 침수해석 모형 시스템 구축 라.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영향 평가 시나리오 선정 3. 영향평가 결과 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영향 분석 결과 나. 권역별 침수면적 변동 분석 및 평가(100년 빈도) 다. 하천 제방높이 분석 4. 해수면 상승에 따른 대응방향 제4장 연안습지 영향평가 1. 개요 2. 갯벌 현황 및 문제점 가. 갯벌의 기능 및 가치 나. 우리나라 갯벌 현황 다. 갯벌 매립의 문제점 3. 자료 및 방법론 가. 사례지역 나. 분석자료 및 방법론 4. 영향평가 결과 가. 현재 습지 분포 면적 나. 해수면 상승 시 잠재적 손실 습지면적 다. 해수면 상승 시 습지 이동 가능지역 제5장 해수면 상승 적응방안 1. 기술적 적응방안 가. 연안역 사회·경제시스템 적응방안 개요 나. 연안 적응기술의 종류 다. 연안 사회·경제시스템 적응사례 2. 제도적 적응방안 가. 해외사례 나. 주요 사회·경제 부분 적응방안 3. 통합적 적응방안 : 지자체 레질리언스 강화방안 가. 국가 연안 커뮤니티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지표와 프레임워크 나. 해수면 상승 취약지역 분석 다. 사례조사 라. 국내 연안 커뮤니티 레질리언스 지표 마. 요약 및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정책제언 1. 요약 2. 정책제언 제7장 종합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종합 요약 부록 2. 커뮤니티 레질리언스 평가별 세부지표 부록 3. 물리적 취약성 부록 4. 설문조사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