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AURI 기본 2016-2Applications of the National Building Energ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공공·민간분야 활용방안 연구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34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34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9
1) 주제별 선행연구현황 9
2) 선행연구와 차별성 12
3.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15
1) 시간적 범위 15
2) 연구내용 및 방법 15
제2장 건물에너지데이터 활용 동향
1. 국내 건물에너지데이터 관련 동향 19
1) 정책개발 및 시행 19
2) 시스템 개발 및 구축 23
2. 해외 건물에너지 데이터 활용 동향 26
1) 정책개발 및 시행 26
2) 시스템 개발 및 구축 34
3. 관련 이론 및 동향을 통한 시사점 43
1) 관련 이론 및 동향 요약 43
2) 시사점 45
제3장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정보체계 분석 및 활용모형 개발
1. 구축현황 47
1)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배경 및 개요 47
2) 시스템 운영특징 49
2.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정보체계 50
1) 시스템 운영체계 50
2) 시스템 운영상 한계51
3.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데이터 구성 체계 56
1) 건물에너지 통합 정보의 구조 56
2) 건물에너지 소비량 데이터의 구성 58
3) 건물에너지 DB의 지리정보화를 위한 논리체계 재구성 61
4. 국가건물에너지소비지도 개발 및 구현 64
1) 개발현황 및 목적 64
2) 데이터베이스 정제 및 논리체계 65
3) 건물에너지소비지도에 구축된 활용 데이터 68
4) 건물에너지소비지도 구현 71
5) 건물에너지소비지도의 기능구성 74
6) Web-GIS 기반 국가건물에너지소비지도 결과 77
5. 건물에너지소비지도의 시사점 83
제4장 분야별 활용방안 개발 및 제안
1. 정책분야 87
1) 국가정책 운용에 활용 87
2) 그린리모델링 지원대상 선정 및 목표관리 91
3) 건물에너지 정보활용성 증대를 위한 지리정보와 결합 92
2. 민간분야 94
1) 민간분야 활용 수단94
2) 건물분야 신재생 에너지 사업 발굴 95
3) 부동산 거래와 연계한 건물 에너지 정보 활용 97
4) 에너지 소비행태 개선을 위한 활동에 활용 97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103
Summary 107
부록. 건물에너지데이터베이스 활용에 사용된 SQL 쿼리 112
1. 표제부 PK 검색 112
2. 지적기반 에너지 사용량 추출 113
3. 단위변환 함수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