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6-818The Impa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Materials Industries in Korea
환경규제가 소재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 온실가스배출 관련 제도의 영향분석을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6
- 형태사항
- 246 p. 도표 그래프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6-81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22-22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44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44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연구 배경 및 목표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배경
(2) 연구목표 및 기대효과
2.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제도의 국내외 현황
1. 해외
(1)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도입 개요
(2) EU
(3) 미국 캘리포니아
2. 국내
(1)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2)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3)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3. 시사점
제3장 소재산업의 온실가스 발생구조와 현황
1. 소재산업의 위상과 현황
(1) 소재산업의 위상
(2) 소재산업의 탄소집약도
2. 철강산업
(1) 철강산업의 현황
(2) 온실가스 발생 및 공정별 현황
3. 비철금속산업
(1) 비철금속산업의 현황
(2) 온실가스 발생 및 공정별 현황
4. 석유화학산업
(1) 석유화학산업의 현황
(2) 온실가스 발생 및 공정별 현황
5. 시멘트산업
(1) 시멘트산업의 현황
(2) 온실가스 발생 및 공정별 현황
6. 제지산업
(1) 제지산업 현황
(2) 온실가스 발생 및 공정별 현황
7.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적용에서 산업별 과제
제4장 환경규제의 소재산업에 대한 영향 분석
1. 분석의 대상
2. 분석방법론
(1) 선행연구
(2) 분석에 사용된 기초 자료
(3) 분석방법
3. 분석결과
(1) 기초분석
(2) 기업규모별 분석
(3) 계량분석
4. 분석의 시사점
5. 연구의 한계
제5장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
1. 배출·할당량 산정기반의 합리성과 일관성 확보
(1) 산업별 배출허용총량 도출 단계
(2) 산업별 배출권거래제 대상의 선정 단계
2. 벤치마크 도입 관련 산업별 고려사항
(1) BM 도입의 기본 원칙과 도입목표의 재정립
(2) 국제경쟁력을 고려하는 유무상 할당의 운영
(3) 할당방식에 따른 부문별·업종별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추진
3.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추진 기반의 정립
(1) 환경·에너지 기본정책에 부합하는 절차의 투명성과 개방성 확보
(2)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에 따른 영향평가 도입 필요
(3) 온실가스 감축정책 추진 대상의 차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