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43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43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제2장 개도국 민간부문개발 지원의 의의와 유형
1. 개도국 민간부문개발의 의의
2. 개도국 민간부문개발을 위한 국제사회 지원 동향
3. 민간부문개발의 지원 유형
제3장 주요 공여국의 민간부문개발 지원 사례와 한국과의 비교
1. 영국
(1) 영국 국제개발부(DFID)의 민간부문개발 개요
(2) DFID의 민간부문개발 전략 및 접근법
(3) 관련 기금 및 기구
(4) 영연방개발공사(CDC)
2. 일본
(1)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의 민간부문개발 개요
(2) JICA의 민간부문개발 유형
3. 소결 : 주요 공여국과 한국의 지원 비교
제4장 동남아시아의 민간부문 현황 분석
1. 지역 및 국가 단위의 민간부문 현황 분석 접근법
2. 동남아 지역의 민간부문 현황
(1) 민간부문 구조
(2) 아세안 민간부문 발전 여건
3. 베트남의 민간부문 현황
(1) 베트남 경제 및 산업
(2) 베트남 민간부문 현황
(3) 베트남 민간부문 발전 여건
4. 미얀마의 민간부문 현황
(1) 미얀마 경제 및 산업
(2) 미얀마 민간부문 현황
(3) 미얀마 민간부문 발전 여건
제5장 동남아 민간부문개발을 위한 한국기업의 지원수요 분석
1. 국내 기업 대상 설문조사
(1) 사전 포커스그룹 면담
(2) 설문조사 실시 및 기초통계
2. 분석모형
3. 결과 분석
제6장 한국의 대 동남아시아 민간부문개발 지원 방안
1. 국별 민간부문개발 지원 전략 수립 프레임워크
2. 베트남 민간부문개발 지원 방안
(1) 베트남 민간부문 현황 및 수요 요약
(2) 한국의 대베트남 민간부문개발 지원의 수요 부합성
(3) 대베트남 민간부문개발 지원 방향
3. 미얀마 민간부문개발 지원 방안
(1) 미얀마 민간부문 현황 및 수요 요약
(2) 한국의 대미얀마 민간부문개발 지원의 수요 부합성
(3) 대미얀마 민간부문개발 지원 방향
4. 결론 : 동남아시아 민간부문개발 지원 고려사항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