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
- 저자
- 강형식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 형태사항
- 326 p. 도표 그래프 26 cm
- 총서사항
- 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3-09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73-280)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883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P42288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연구 목적
3.연구 내용 및 방법
가.연구내용
나.연구 방법
제2장 국내외 물안보 정책 동향 및 미래좌표 설정
1.물안보 개념의 등장
2.해외 동향
가.해외 주요 국가의 정책 동향
나.국제기구의 정책 동향
다.,생태계회복을 통한 물안보 정책 동향
3.국내 동향
가.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전략
나.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다.물환경 비전 2030
4.국가 물안보 확보를 위한 미래 좌표 설정
가.과거 물안보 상황
나.물수급과 물안보
다.물안보 확보를 위한 방향 설정
제3장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비전 및 목표설정
1.2050년 미래상
가.사회영역
나.경제영역
다.환경영역
2.물안보 인식 조사
가.전문가 설문 조사
3.물안보 비전 및 목표 설정
4.정량적 목표 설정
가.수자원
나.수질
다.수 생태
라.인프라
마.연안
제4장 기후변화에 따른 부문별 물안보 취약성 및 대응정책 분석
1.홍수
가.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부문 취약성
나.기후변화에 대응한 홍수 부문 정책대안
2.가뭄
가.가뭄 부문의 취약성
나.기후변화에 대응한 가뭄 부문 정책대안
3.수질
가.기후변화에 따른 수질 부문 취약성
나.기후변화에 대응한 수질 부문 정책대안
4.수생태
가.기후변화에 따른 수생태 부문 취약성
나.기후변화에 대응한 수생태 부문 정택대안
5.물환경 인프라
가.기후변화에 따른 인프라 부문 취약성
나.기후변화에 대응한 인프라 부문 정책대안
제5장 물안보 정책 대안의 우선순위 및 로드맵 작성
1.물안보 부문별 정책대안의 설정
2.부문별 정책대안 우선순위 평가
가.우선순의 평가 방법
나.우선순위 평가 결과
3.물안보 정책대안의 실행을 위한 로드맵
제6장 권역별 물관리 취약성 평가 및 정책대안
1.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피해 산정
가.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안전도 변화
나.기후변화에 따른 치수 안전도 평가
2.권역별 물관리 취약성 평가
가.취약성 평가 방법
나.물관리 취약성 평가 결과
3.재해에 대한 레질리언스 확보 방안
가.커뮤니티 레질리언스의 개념
나.커뮤니티 레질리언스의 진단
제7장 국가 물관리 예산 및 물안보 예산 확보 방안
1.국가 물관리 예산 분석
가.부처별 물관리 사업
나.국가예산과 물관리 예산
다.부처별 물관리 체계 및 예산
라.시사점
2.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피해비용 추정
가.홍수 피해비용 추정
나.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피해비용 추정
3.물안보 소요 예산 추정
가.기후변화 관련 사업분야별 추진사업
나.기후변화 대비 소요 비용현황
다.재원확보 방안
라.소결
제8장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