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4-723An Evaluation of Korea's Policy for Creation of Growht Engines and Future Developmental Challenges
한국의 성장동력 정책평가와 향후 발전 과제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170 p. 도표 24 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4-723
- 원표제
- An Evaluation of Korea's Policy for Creation of Growht Engines and Future Developmental Challenges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8-14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68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6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성장동력과 정책평가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성장동력의 다양한 개념과 의의
2. 성장동력 발전 전략과 정부의 정책개입 관련 논의
3. 효과성 제고 중심의 정책평가방법론
4. 본 연구의 성장동력정책 평가 방법
제3장 주요국 성장동력정책 사례분석과 시사점
1. 미국의 국가 제조혁신 연구기관 네트워크 프로그램
2. EU의 핵심기반기술 프로젝트
3. 독일의 하이테크 전략
4. 해외 사례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제4장 과거 정부의 성장동력정책 평가와 시사점
1. 참여정부의 차세대 성장동력정책
2. 이명박 정부의 신성장동력정책
3. 정책적 시사점
제5장 정책 효과성 관점의 성장동력정책 평가
1. 성장동력 분야 진출 기업의 실태조사에 근거한 정책평가
(1) 분석개요
(2) 신성장동력 품목별 산업발전 단계 분석 결과
(3) 정책적 시사점
2. 과거 성장동력정책 효과성에 대한 실증분석
(1) 분석개요
(2) 정책효과성에 관한 선행 실증연구의 개관
(3) 자료와 분석모형
(4) 실증분석 결과
(5) 정책적 시사점
(6) 본 실증분석의 한계
제6장 향후 성장동력정책 방향 및 중점 추진 과제
1. 최근 정부의 성장동력정책 개관 및 평가
(1) 최근 정부의 성장동력정책 개관
(2) 미래성장동력정책에 대한 발전적 관점의 평가
2. 향후 성장동력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1) 창조경제 실현 차원의 차별적 정책추진과 실행력 강화
(2) R&D 및 산업화 단계별 차별적 지원정책 및 제도개선
(3) 성장동력 분야 기업투자여건 개선을 위한 패키지형 지원 강화
(4) 미래성장동력 산업화 과정의 혁신적 금융지원 활성화
(5) 공공조달의 혁신 및 정책수단화 등 수요측면의 정책 강화
(6) 성장동력 성과가시화를 위한 정책추진체계의 정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