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4-02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measurement system to assess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in Korea(I)
생태계서비스 측정체계 기반구축(I): 하천생태계를 중심으로: 환경・경제의 상생기반 구축 및 잠재력 활성화
- 저자
- 안소은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121 p. 도표 그래프 26 cm
- 총서사항
- 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4-02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01-10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3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3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2
2. 연구내용 및 범위 3
3. 주요 용어정리 7
제2장 생태계서비스 개념 및 분류체계 9
1. 생태계서비스 개념 10
2.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13
제3장 하천 생태계서비스 지표개발 및 적용 19
1. 지표개발 사례연구 20
2. 하천 생태계서비스 지표개발 34
가. 개념적 틀 34
나. 지표유형 37
다. 지표 선정기준 39
라. 지표후보군 선정 42
3. 하천 생태계서비스 지표적용 예비결과 51
가. 공급서비스 52
나. 조절서비스 54
다. 지지서비스 57
라. 문화서비스 59
4. 시사점 60
제4장 하천 생태계서비스 경제적 가치추정 63
1.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와 경제적총가치(TEV) 유형 64
2.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와 가치추정 기법 66
3. 국내 하천 생태계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68
가. 국내 하천 생태계서비스 선행연구 69
나. 국내 하천 생태계서비스 단위가치(원단위) 비교‧분석 74
4. 시사점 78
제5장 생태계서비스 통합 측정체계 구축 81
1. 통합 측정체계 주요 요소 82
2. 분석목적에 기반한 분류체계 및 지표개발 84
3. 역방향 경로분석에 기반한 가치추정 86
4. 지표와 가치추정의 연계방안 90
제6장 결론 95
1. 요약 및 결론 96
2. 2차년도 연구계획 98
참고문헌 101
부록 1: 하천 생태계서비스 1차 지표후보군 및 자료출처 107
부록 2: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개요 및 자료구축 현황 115
Abstract